차세대 반도체장비 국산화를 위해 정부·연구(학)계·대중소기업이 공동으로 기획한 ‘나노공정 반도체 제조장비 실용화사업’이 시작도 못한 채 중단 위기를 맞고 있다. 이 사업은 대형 국가연구개발 실용화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해 왔으나, 최근 재원 확보가 불투명해지고 있는 것이 원인이다. 더욱이 지난 5월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 실무조정 결과, 재원 확보와 추진 보완 등의 문제로 ‘추가검토사업’으로 분류되면서 정부가 이 사업을 진행할 것인지를 분명히 정하지 않아 업계 혼란만 가중되고 있다.
◇나노공정 반도체제조장비 실용화사업이란=3∼5년 내 실용화가 가능한 전략적 나노장비를 선정해 개발함으로써 반도체 전공정장비 국산화율을 높이자는 것이 이 사업의 취지다. 산업자원부가 주관부처로, 과학기술부와 정보통신부가 협조부처로 진행하며, 이미 산·학·연 전문가를 포함한 ‘차세대 나노반도체 제조장비 실용화 사업단’을 통해 단기간 실용화가 시급한 60나노급 식각·증착·검사 장비를 대상으로 선정해 놓은 상태다.
◇왜 중요한가=반도체장비는 그 특성상, 기술 개발 이상으로 개발된 장비의 실용 검증과정이 중요하다. 해외 선진장비업체에 비해 자금력이 떨어지는 중소 규모의 국내 장비업체들로서는 기술을 개발해 놓고도 투자비용 때문에 실용화에 엄두를 못 내는 사례가 적지 않다. 업계 한 관계자는 “반도체공정이 나노공정으로 전환되면서 국내 장비업계는 어느 때보다 호기를 맞고 있다”며 “세계 최대 소자기업을 보유하고 있는 한국 장비업계로서는 나노 전환기에조차 주도권을 놓치면 선진 해외업체들과의 격차를 따라잡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어떻게 진행돼 왔나=나노장비 실용화 사업은 과기혁신본부가 3∼5년 내 실용화가 가능한 분야에 대한 수요조사 결과를 토대로 과제를 도출했다. 이에 산자부와 반도체업계는 ‘실용화 사업단’을 구성, 삼성전자·하이닉스·동부아남 등 수요업체의 참여를 전제로 한 핵심 아이템 선정 및 실용화 방안을 마련했다. 그러나 정부 전체 R&D 예산 가운데 10% 이내에서 조정해 재원을 확보한다는 당초 계획이 무산되면서 추진이 불투명해진 상태다.
◇뚜렷한 대안 없어=관련업계는 ‘추가검토과제’의 의미가 모호하다는 반응이다. 과기부 연구조정총괄담당관실의 이은우 과장은 “대형 국가연구개발 실용화사업의 재원은 정부 전체 R&D예산 가운데 추가 예산이 생기면 별도 지원도 가능하지만, 기본 원칙은 주관부처가 스스로 지원할 수 있는 범위에서 재원을 확보해 추진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이 사업은 초기 과학혁신본부에서 기획해 진행한 것으로 주관부처는 대상 과제로 선정된 후에 참여했다. 이 때문에 산자부 측은 이미 내년도 부처 예산 책정이 끝난 상황이어서 1400억원(3년간)에 이르는 예산을 새로 확보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태도다. 업계는 예산에 대한 충분한 검토 없이 몇 개월에 걸쳐 ‘헛일’만 했다는 불만을 감추지 않고 있다.
◇해결방안은=이 사업에 필요한 예산은 3년간 총 2000억원 규모. 정부가 1400억원, 업계가 600억원을 부담하게 돼 있다. 업계는 이 사업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는만큼 민간부담(30%) 재원은 쉽게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 정부 예산 부문에서 과기부와 산자부가 지금보다 조금 더 적극적으로 예산 확보에 노력해 ‘솔로몬 해법’을 찾아야 한다.
모처럼 삼성전자·하이닉스반도체·동부아남반도체 등 수요 기업이 한 목소리로 필요성을 강조하고, 적극적으로 중소기업인 장비업체 지원을 강화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하면서 추진한 과제인만큼, 반도체업계는 정부의 특단의 대책을 기대하고 있다.
심규호기자@전자신문, khsim@
나노공정 반도체제조장비 실용화사업 개요
주관(협조)부처 산자부(과기부·정통부)
국내기술개발현황 60나노급 차세대반도체 제조장비(식각장비·증착장비·검사장비)
실용화 방법 원천기술 기초로 장비 제조업체와의 협력 제작
실용화 가능성 성능시험 후 2008년 상용화 가능
애로사항 시제품 개발 후 상용화까지 막대한 재원 소요. 개발된 장비의 성능검증 기회 부족
사업 효과 15조4000억원 규모 장비시장 창출(수입 대체), 8조원 규모 생산 유발 효과, 4만명 고용창출, 장비평가센터 초석 마련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나노공정 반도체 제조장비 실용화 사업 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