밸리 열풍…`묻지마 투자` 우려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전국에 조성된 밸리 현황

 전국에 밸리(Vally) 열풍이 거세게 불고 있다.

 서울과 부산 등 전국 각 자치단체들이 정보기술(IT) 벤처기업과 첨단산업의 집적화 단지 조성에 앞다퉈 나서면서 각종 신흥 밸리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특히 정부의 제2의 벤처 붐 조성과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 육성에 따른 국가 균형발전 정책과 맞물려 이러한 밸리조성 붐은 더욱 활발해질 전망이다.

 물론 이같은 유행에 따라 지자체들이 지역 특성을 고려치 않은 급조된 졸속 추진, 또는 수년 째 연구소와 기업을 유치못한 채 시간과 예산을 낭비하는 등 부작용 사례도 적잖이 지적되고 있다.

 ◇밸리 조성 실태와 현황=서울과 수도권에서는 대표적인 IT 집적지인 테헤란밸리에 이어 구로디지털산업단지에 조성된 구로밸리가 뜨고 있다. 또 경기 수원의 광교테크노밸리와 성남과 평택으로 연결되는 바이오 연구·개발(R&D) 클러스터가 조만간 착공에 들어갈 예정이다. 강원도는 원주의료기기 테크노밸리 조성에 이어 신·재생에너지밸리 조성을 검토중이다.

 대덕테크노밸리는 연구·개발특구지정과 행정신도시 이전과 맞물려 오는 2015년까지 첨단기술 업종 3000개와 외국 R&D센터 20개를 유치하는 등 세계 초일류 혁신클러스터로 새롭게 부상하고 충남도는 아산 탕정면 일대에 디스플레이 산업 집적화단지인 크리스털 밸리 구축에 들어갔다.

 경북도와 대구는 모바일 밸리(대구 칠곡)에 이어 울산의 오토밸리, 포항의 부품소재 밸리를 각각 추진중이며 경남·부산지역에서는 가야밸리에 이어 유비쿼터스 밸리(부산 해운대 센텀시티∼반여동) 조성을 검토하고 있다.

 광주시는 첨단산단에 발광다이오드(LED) 밸리를 추진중이며 전북도는 첨단 방사선융합기술(RFT) 밸리와 영상 미디어 밸리 조성을 구상하고 있다. 제주에서는 국제자유도시 7대 선도프로젝트 하나로 IT밸리 조성이 진행중이다.

 ◇엇비슷한 밸리 문제점과 대책= 강원도와 경기도, 대전시와 부산, 제주도 등 5개 지자체는 최근 인간배아 줄기세포 배양에 성공한 서울대 황우석 교수팀의 연구센터를 유치해 바이오 밸리를 조성하겠다고 경쟁적으로 밝혀 중복사업에 따른 예산낭비를 초래할 것이라는 지적을 받고 있다.

 강원도와 전북도, 경북도도 신·재생에너지 산업 집적화단지를 위해 서로 물밑경쟁을 벌이고 있으며 대구시와 충북· 강원·전북·전남도 등은 한방바이오밸리 조성을 놓고 힘겨루기 양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지난 99년 추진된 대구 패션어패럴밸리사업은 감사원 감사 결과 5년이 넘도록 부지는 4배 정도 늘었으나 사업 진척률은 고작 18%에 불과해 실패작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부산·경남·울산의 가야밸리는 지역간 협조체제가 부족하고 인프라도 미흡해 아직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으며 광주 LED밸리와 전북 RFT 밸리도 성공 가능성에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밸리의 성공요소로 자연스럽게 정보와 기술, 아이디어(연구·개발)가 밀집돼 활발한 교류가 이뤄지고 밸리에 입주하는 연구소나 업체에는 각종 자금지원과 세제혜택이 우선돼야 할 것으로 지적하고 있다.

 삼성경제연구소 박용규 수석연구원(41)은 “자치단체의 산업 집적화 의지가 담긴 밸리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연구 기능 뿐만 아니라 각종 법적·제도적 장치와 인적·물적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며 특히 장기간의 안목에서 지속적으로 추진하려는 전략이 무엇보다 필요하다”고 말했다.

<전국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