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후 6년 후면 모든 국민이 전자건강기록을 갖게 된다.’
탈장수술·예방접종 등 환자의 진료 정보를 담은 통합 전자건강기록시스템 구축 프로젝트가 오는 2010년 완료를 목표로 이달 본격 시작된다. 정부는 이 사업이 완료되면 환자 정보 부족으로 인한 약물 부작용 및 중복 검사 등의 의료 과오가 줄어들어 선진국에 걸맞은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 의료비 지출 절감에도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어떻게 추진돼나=보건복지부는 보건소 246곳, 보건지소 1271곳, 보건진료원 1899곳에 650억원의 예산을 들여 오는 2008년까지 전자건강기록시스템을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또 오는 2007년부터 향후 4년간 3000억원을 투입, 대학병원 14곳과 공공병원 41곳 등에 이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전자건강기록시스템 개발의 초점은 일차적으로 모든 공공 의료기관이 정보를 상호 공유하는 것이다. 따라서 정부는 표준을 근거로 한 상호 운용성이 보장된 시스템을 개발할 계획이다.
특히 이 사업에 다양한 의료정보 산업체의 참여를 적극 유도하며 모듈 형태로 시스템을 개발해 여러 의료정보 산업체에 최대한 참여 기회를 보장, 시장 확대와 기술 개발 능력 향상을 꾀한다는 방침이다.
또 전자건강기록시스템이 개발되면 이를 민간 의료기관에 무료로 제공할 계획이다. 먼저 공공 의료기관에서의 시범사업을 통해 비용 절감과 편익을 직접 증명해 보임으로써 민간 의료기관의 전자건강기록시스템 도입을 적극 유도, 확산하기로 했다.
김윤 보건의료정보표준화위원회 위원장은 “특히 의료 정보의 표준을 제정, 모든 의료기관의 정보를 하나로 통합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시스템 구축 효과=복지부는 전자건강기록시스템이 구축되면 의료기관 간에 임상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중복 검사 감소, 약제비 절감, 의료 질 향상, 진료비 청구 오류 감소 등의 효과를 거둬 의료비 절감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복지부는 2004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전체 의료비 중 약 4조원 절감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 국가 보건의료 정보 표준을 근거로 한 전자건강기록시스템이 구축됨으로써 의료기관의 정보화 투자 손실도 막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제까지 연세대·서울대 등 대학병원을 중심으로 한 의료정보화시스템은 상호 연동되지 않아 불편함이 있었다.
김 위원장은 “표준을 근거로 하지 않은 의료정보시스템이 구축되면 현재 구축된 시스템을 재변경해야 하는 문제점이 생긴다”면서 “이번 전자건강기록시스템 개발은 공공·민간 의료기관의 정보화 통합에 큰 전기를 마련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안수민기자@전자신문, smahn@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상호운용성이 보장된 전자건강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