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오는 2015년까지 10년간 단기 2년, 중기 5년, 장기 3년 단위로 진행할 ‘범정부 기후협약 대응 기술개발 마스터플랜’이 수립된다.
이 계획에 따라 과학기술부를 비롯한 5개 부처가 2005년부터 2007년까지 수행하는 ‘제3차 기후변화협약 종합대책’ 중 14개 연구개발과제(1조4904억원 투입)에 대한 지원 경·중이 결정될 전망이다.
25일 과학기술혁신본부에 따르면 정부는 오는 12월 말까지 부처별로 추진해온 온실가스 감축 관련 기술개발체계를 범국가적 측면에서 재정립, 내년에만 2700억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이후 마스터플랜에 따라 △단기·중기·장기별 주요 기술 도출 △투자 우선 순위 결정 등을 통해 연구개발을 효율화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기후변화협약대책위원회(위원장 국무총리) 산하에 연구개발반을 구성·운영하고, 과기혁신본부를 중심으로 부처 간 협조체계를 구축해 상시 점검하기로 했다. 에너지경제연구원, 에너지기술연구원, 환경정책평가연구원, 건설기술연구원, 산업연구원, 해양연구원 등 국가출연연구기관과 민간 연구소를 포괄하는 전문가 풀(pool)도 상시 가동한다.
구체적으로 고효율 수소에너지 제조·저장·이용기술(과기부), 수소·연료전지·태양광·풍력 등 신재생 에너지 기술(산업자원부), 조류·조력·파력 등 해양에너지 기술(해양수산부) 등 화석연료 대체 연구에 중장기적으로 4500억원 이상의 정부 재원을 투입하는 마스터플랜이 수립될 것으로 전해졌다. 또 화석연료 대체 에너지의 경제성을 확보하기까지 시간이 많이 걸린다는 점을 감안해 중대형 에너지 절약기술(산자부), 고연비 저공해 자동차(산자부), 차세대 초전도 전력기기(과기부) 등의 개발에도 4500억원 이상을 쏟아붓는 전략을 검토중이다. 해수부, 환경부, 농업진흥청도 온실가스 처리·이용 기술, 환경기술 개발에 나선다.
한문희 과기혁신본부 에너지환경심의관은 “에너지 다소비 산업구조를 가진 우리나라에 대한 온실가스 감축 의무부담 정도에 따라 경제성장에 부정적 영향이 예상돼 지난 5월부터 입체적인 범부처 연구개발 마스터플랜을 마련해 왔다”고 말했다.
이은용기자@전자신문, ey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