값싼 생활로봇 상용화 앞당긴다

 100만원대 네트워크 로봇(URC) 사업이 시작됐다.

 정보통신부는 26일 청사 중회의실에서 광대역통합망(BcN) 사업자, 로봇 업체 및 연구소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국민 로봇사업’ 출범식을 갖고 100만원대 네트워크 로봇사업 추진을 공식 선언했다.

 이날 출범식에서 진대제 정통부 장관은 “향후 로봇사업은 로봇의 개발에서 상용화까지 유기적인 연계성을 갖는 사업 추진 체계를 통해 참여 기관들이 공동 협력하여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추진될 것”이라고 약속했다.

 ◇네트워크 로봇, 한국형 모델=세계적 로봇 강국은 일본이다. 최초 휴머노이드 로봇 ‘아시모’와 강아지 로봇 ‘아이보’, 가정용 로봇의 최정상으로 꼽히는 ‘누보’ 등은 일본의 기술력을 대표한다.

 그러나 문제는 비싸다는 점이다. 사람의 목소리를 알아듣고 춤을 추는 ‘누보’는 대당 58만8000엔(약 590만원)이다. 현재까지 로봇은 자동차 등 중장비를 만드는 산업용이 주력이고 일반용은 ‘상징’에 머무르고 있는 감이 없지 않았다.

 정통부와 로봇 업계는 이날 한국형 로봇 모델인 ‘네트워크 로봇’을 선보였다. 세계 최초며 가격도 100만원대다. 국민 로봇으로 명명된 이 네트워크형 로봇은 기존 독립형에 초고속 인프라를 연결, 불필요한 부품 요소는 줄이고 기능은 최적화했다.

 로봇을 네트워크와 연결해 하나의 독립된 기계가 아니라 정보통신 단말기로 봤다. 세계 최고 수준의 초고속인터넷, 이동통신 보급률이 낳은 결과다.

 이 같은 아이디어는 더 저렴한 가격으로 실생활에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로봇을 개발, 조기에 국내 시장을 형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세계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필요성에서 나왔다.

 ◇시너지 창출 의미 크다=특히 로봇 기업, 통신 사업자, 콘텐츠 업체, 연구소의 유기적 협력으로 시너지를 창출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진 장관도 “이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국민로봇사업단을 구성, 100만원대 로봇의 상용화를 본격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정통부는 이날 국민 로봇과 콘텐츠 개발·판매·유통·사후관리 등을 담당할 국민로봇사업단(단장 오상록)을 구성했다.

 국민로봇사업단은 국민 로봇 비즈니스 모델을 기초로 로봇 기업, 통신 사업자, 콘텐츠 업체, 연구소 등이 역량을 집중할 수 있도록 역할 분담 및 조정 등의 임무를 수행할 예정이다.

 ◇공급자 중심 모델 탈피해야=그러나 전문가들은 국민 로봇사업이 본격 이륙하기 위해서는 공급자 중심의 비즈니스 모델에서 탈피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오는 2011년까지 300만대의 국민 로봇 수요가 있을 것으로 예측했지만 근거가 불명확하다.

 네트워크 로봇을 불편 없이 작동하기 위해서는 유무선 통신 인프라가 뒷받침돼야 하는데 현재 수준으로는 그림의 떡일 가능성이 높다. 부품 소재 국산화도 넘어야 할 산이다. 로봇 가격을 낮추기 위해서는 부품 소재 대부분을 중국이나 대만에서 들어와야 하기 때문이다.

 출범식에 참석한 한 관계자는 “국민 로봇이라는 이름이 붙었기 때문에 부품 소재까지 대부분 국산화해야 한다는 면에서 부담이 적지 않다”며 “산업 규모가 커지면 자연스럽게 국산화와 가격 안정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손재권기자@전자신문, gjack@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