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비쿼터스 사회](6)미래도시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유형별 국내 u시티 추진 현황

u시티를 통해 외곽 분산형 도시공간이 탄생, 지역균형발전이 유도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또 바람직한 u시티 건설을 위해서는 도시공간과 IT의 균형적 접근, 국가 차원의 거시적·장기적 대책 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정보통신부와 한국전산원은 최근 발간한 ‘u시티로 바라보는 미래도시의 모습과 전망’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히고 u시티는 ‘도시 생활 서비스 지능화’와 ‘도시 자생력 창출’의 두 가지 방향으로 진행될 것으로 전망했다.

 u강남, u동탄, u수원 등은 인프라 및 서비스 도입을 통해 도시 생활 서비스를 지능화하는 경우다. 반면 u송도, u제주, u부산 등은 도시 특화 산업 육성을 병행해 도시 자생력을 창출하고자 하는 경우라는 게 보고서의 분석이다.

 미래도시는 도로, 전기, 상하수도 등과 같은 물리적인 인프라가 센싱, 통신 등의 정보기술을 통해 다양한 지능형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새로운 형태의 인프라로 변화한다. 또 u워크(Work), u교육, u문화, u소비 서비스 등이 활성화돼 주거지, 문화시설, 상가 등이 외곽으로 분산되는 형태로 도시공간 구조가 변화한다.

 특히 u시티 정책에 의해 형성될 특수기능 중심의 소도시는 산업과 인구 분산을 유도, 지역 균형 발전이 실현될 것으로 보고서는 전망하고 있다.

 이번 보고서를 통해 전산원은 바람직한 u시티 건설을 위한 정책 제언도 제시하고 있다. 우선 u시티 건설은 기존의 신도시 개발이나 정보화사업과는 다른 방식의 접근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도시공간과 IT의 균형잡힌 전문적 시각이 요구되고, 정부·기업·시민 간 상호협력 네트워크가 구축돼야 한다.

 새 도시는 자족적인 생산도시로서 기능할 수 있도록 독자적인 산업모델을 갖춰야 한다. 또한 이런 모습의 u시티 추진을 위해서는 국가 차원의 거시적·장기적인 계획이 꼭 필요하다. 이밖에 △도시공간과 IT를 두루 잘 아는 전문가 양성 △IT인프라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장애가 되는 법령을 찾아 정비하는 노력 △개인정보보호나 정보보안에 대한 철저한 대비 등이 필요하다는 게 보고서의 분석이다.

 이 보고서는 한국전산원 홈페이지(http://www.nca.or.kr)에서 내려받을 수 있다.

 류경동기자@전자신문, ninan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