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르면 내년 9월께 모바일 전자태그(RFID)와 관련된 코드를 발급하고 관리하는 전담기관이 세계 처음으로 국내에서 운영된다.
한국인터넷진흥원(원장 송관호 http://www.nida.or.kr)는 내년 3분기부터 RFID를 내장한 휴대폰을 통해 객체정보서버의 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모바일 RFID 전용 코드인 ‘m코드’를 발급하고 총괄 관리한다고 30일 밝혔다.
이를 통해 인터넷진흥원은 인터넷주소자원 관리기관은 물론이고 모바일 RFID와 관련된 코드의 국가 등록기관(national registry)으로도 운영된다. m코드는 인터넷 IP와 같은 역할을 하게 돼 모바일 RFID를 통해 제품에 부착된 태그의 코드값을 읽으면 제품 정보가 내장된 서버로 연결돼 이용자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제품 정보를 받아 볼 수 있게 된다. 그림 참조
인터넷진흥원은 이 같은 모바일 RFID 정보검색서비스(ODS)를 추진하기 위해 현재 모바일 RFID 표준 체계를 마련하고 통합 RFID 코드 등록·관리 시스템을 구축중이다. 또 국내 이통사와 공동으로 모바일 RFID ODS의 이동통신망 연동을 추진하고 있다.
내년 상반기까지 m코드를 이용한 검색시간 단축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현재 시험 운용중인 모바일 RFID ODS를 확장 구축하는 한편 모바일 단말기의 네트워크 통신을 위해 위피(WIPI) 서비스인터페이스(API)를 개발해 보급할 방침이다. 또 RFID 서비스 구축 사업자를 위해 m코드 등록 지침서를 별도로 제작해 배포할 계획이다.
나정정 한국인터넷진흥원 차세대개발팀장은 “m코드와 마이크로-m코드 등 2가지 코드를 국내 모바일 RFID 코드 체계로 활용하고 이를 바탕으로 ISO 기반의 국제 표준으로 추진할 계획”이라며 “국제표준에 맞춰 국가별 톱레벨코드(TLC)를 배정하기 때문에 모바일 RFID 분야에서 세계적으로 선도할 수 있는 기회가 마련된 것”이라고 말했다. 서동규기자@전자신문, dkse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