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자원부의 지원을 받아 창업을 지원해 왔던 테크노파크는 이제 기술전략 컨설턴트로 역할을 전환해야 할 때입니다.”
지난 6월 전국테크노파크협의회장으로 추대된 충남테크노파크 신진 원장(48)은 테크노파크의 생존전략과 핵심업무에 대해 ‘테크노파크가 컨설턴트를 자임하게 될 것’이라고 역할론을 펴며 “창업보육센터나 매니저를 훈련, 교육시켜 컨설턴트로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예컨대 삼성전자가 필요로 하는 제품과 업체의 연결이 가능하고, 또 역으로 물건을 어디다 팔 것인지 정해 수요자에 맞는 제품을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
신 원장은 “공급자 중심의 기업 마인드에서 수요자가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를 파악하고 제품화하는 의식의 전환이 절실하다”며 “그 맥을 잡아주는 일이 바로 테크노파크의 역할이 되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4월 취임하자마자 신 원장이 536페이지에 달하는 ‘기업지원제도 편람’부터 제작한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테크노파크 직원들이나 창업자들이 기업을 키워나가기 위해선 우선 정부의 기본적인 시스템부터 이해하고 있어야 한다는 판단에서다.
신 원장은 “공공기관은 효율보다는 공정성에 치우쳐 있기 때문에 투입대비 성과(ROI) 개념보다는 정산해서 문제가 없는 방향으로 사업화하는 경향이 강하다”며 “혁신의 시작점이 바로 변화를 수용할 수 있는 틀을 만드는 일에 있다”고 주장했다.
신 원장은 이를 위해 △성과 위주의 평가지표 △사후 관리 방안 △시스템 홍보 등 3대 전략 방안을 제시했다. 정부 사업 자금을 ‘내 돈 쓰듯이’ 하도록 하겠다는 것이다.
“이제 창업보육센터는 현실에 안주하기보다는 사업 자체를 교육부나 과학기술부 등의 혁신 사업과 연계해 확대해 나가야 할 시점입니다.”
신 원장은 “사업을 위해서는 예산확보가 필수인데 조만간 파격적인 방안이 마련될 것”이라며 “테크노파크의 달라진 모습을 기대해도 좋다”고 자신감을 나타냈다.
‘기술이전·사업화’ 전문가로 한국기술거래사회 회장도 맡고 있는 신 원장은 또 “국내 기술 가치 평가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관련 프로그램의 운용적인 측면에서 접근해야 한다”며 “국내 기술가치 평가의 문제는 프로그램이나 시스템에 하자가 있는 것이 아니라 관련자들의 이해가 부족하다는 데 있다”고 덧붙였다.
대전=박희범기자@전자신문, hb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