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비쿼터스 부산, 유비쿼터스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로 어서 오이소!’
이번 ‘제13차 APEC 정상회의’를 위해 부산을 찾는 21개국 APEC 정상들과 각료, 수행원, 기업인, 취재단 등 6000여 명은 IT코리아의 매력에 흠뻑 젖어 돌아갈 것으로 보인다.
정부와 부산시, 그리고 IT기업들이 비지땀을 흘려가며 준비한 따뜻한 디지털 기술은 대한민국의 초겨울 날씨를 만나 옷깃을 여미는 손님들의 마음을 사로잡기에 그만이다.
‘u시티 부산’이 말해주듯 정상회의 기간동안 부산 일대는 유비쿼터스 천국으로 바뀐다. 곳곳에 휴대인터넷(와이브로)과 위성 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DMB) 등 우리나라가 상용화에 성공한 첨단 IT서비스를 세계 정상들이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이 마련됐다. 부산 APEC 정상회의는 첨단 IT 인프라를 적용한 업그레이드된 국제회의를 통해 말로만 듣던 대한민국이 진정한 IT강국임을 국제 사회에 각인시킬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
우리나라는 2003년 기준으로 △총교역의 70.4% △한국에 대한 외국인 투자의 74.1% △투자의 63.3%를 APEC 회원국에 의존하고 있다. 그만큼 우리나라에 있어 APEC의 존재는 크다.
특히 전세계적으로 자유무역협정(FTA) 체결이 확산하는 등 지역주의가 강화되는 추세 속에서 우리나라로서는 이번 APEC이 그만큼 소중한 기회로 다가온다.
우리나라는 관례에 따라 이번 APEC 행사의 의장국으로서 모든 회의를 주관한다. 따라서 노무현 대통령은 직접 주재하는 정상회의를 통해 아태지역 발전을 위한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다. u-APEC 정상회의 구현과 함께 IT지식과 경제·정치이론을 겸비한 u-대통령이 의장으로서 정상회의의 키를 잡고 있다는 점도 강점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정부는 부산 APEC을 이전에 치러진 12차례의 정상회의와는 차원이 다른 u-APEC으로 이끌어 지난 94년 인도네시아 보고르에서 채택한 ‘보고르 목표’의 중간점검 보고서인 ‘부산 로드맵’을 도출해 낸다는 계획이다.
이번 정상회의가 APEC의 기본 목표인 보고르 목표에 대한 각국의 추진 현황을 점검하고, APEC의 미래 방향과 역할을 정립해야 하는 중요한 시점에서 열리는 큰 행사라는 점에서 국제무대에 미치는 영향도 작지 않을 전망이다.
노 대통령은 최근 가진 간담회에서 “이번 APEC 정상회의에서 2020년까지 APEC 국가간 무역투자 장벽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보고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중간점검을 통해 로드맵을 만들어 부산선언으로 다시 정리됐으면 한다”고 밝히고 “이를 추진중”이라고 덧붙였다.
노 대통령은 특히 “APEC 국가 내에 있어서 또는 국가와 국가 사이에 있어서의 사회적 격차가 심각한 문제이며, 이 격차를 완화하기 위한 공동의 노력을 제안할 생각”이라고 밝혀, 이번 정상회의를 통해 APEC을 개혁하고 효율성을 높이는 문제에 적극적으로 의견을 내놓아 국제적 리더십을 부각시킬 전망이다.
우선 18, 19일 이틀간의 정상회의 일정 중 첫날 열리는 제1차 정상회의는 ‘무역자유화의 진전’이라는 의제 아래 진행된다.
이날 회의에선 △세계무역기구(WTO) 도하개발어젠다(DDA) 협상에 대한 APEC 차원의 기여 방안 △보고르 목표(선진국은 2010년까지, 개발도상국은 2020년까지 무역·투자 자유화를 달성하기로 했던 APEC 정상회의 합의) 달성노력 △지역무역협정(RTA) 및 자유무역협정(FTA)의 확산 △경제기술협력 및 경제양극화 해소방안 등이 집중 논의된다.
이튿날인 제2차 정상회의에서는 ‘안전하고 투명한 아·태지역’이란 의제로 인간안보 및 반부패 분야에 대해 논의하게 된다.
최근 APEC 정상회의를 개최하는 나라들은 행사를 통해 국제사회에서 자국의 이미지를 새롭게 하고 산업이나 상품을 홍보하는 계기로 활용하는 것이 일반화된 만큼 우리나라도 APEC을 국가 이미지를 높이는 결정적 계기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우리나라가 강점을 갖고 있는 통신·IT 인프라와 첨단 디지털 제품들을 체험할 수 있게 함으로써 지속적인 수출 주력분야로 육성하는 것이 그 중 하나이고, 대중문화와 아시아 지역에 한정돼 있는 ‘한류’를 아태 전지역으로 확대하는 것도 중요한 과제다.
주문정기자@전자신문, mjj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