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정 제품 생산을 통한 기술 및 수출 경쟁력 강화에 초점을 맞춰라.’
유럽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유해물질·중금속 제한에 대한 극복은 국내 전기전자 업체의 필수 과제가 되고 있다. 전기전자 유해물질사용제한지침(RoHS)과 전기전자기기폐기물 처리지침(WEEE)을 수출 장애요소로만 생각할 것이 아니라 품질개선 효과를 얻고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기회로 삼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김혜원 기술표준원장은 “RoHS는 규제로만 생각할 것이 아니고 전기전자 수출 강국으로서, 적극적 대응과 대비를 통해 제품 브랜드 이미지를 높일 수 있는 계기로 삼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EU는 이미 WEEE를 발효했고 RoHS는 내년 7월부터 적용할 예정이다. 전기전자기기 수출강국인 우리나라는 이에 철저히 대비할 필요가 있는 시점이다. 중국도 EU의 RoHS와 유사한 ‘전자제품오염관리법안’을 통해 내년 7월부터 납, 수은, 카드뮴, 6가 크로뮴, PBBs, PBDEs와 같은 특정유해물질 함유량을 초과하는 제품 판매를 금지할 예정이다.
국내에서는 산·학·연·관이 공동으로 연구하여 RoHS 관련 6대 유해물질(납, 수은, 카드뮴, 6가 크로뮴, PBBs, PBDEs)에 대한 분석방법 표준화 마무리단계에 와 있다. 내년 초에는 중금속 분석 방법 25종이 국가 표준으로 만들어진다.
이해 당사자가 될 기업들의 대응은 더욱 첨예하다. 삼성전자, LG전자 등은 협력 부품업체와 자체 친환경 인증제도를 통해 유해물질을 제품에서 완전히 제거하는 방법을 찾고 있다. 국제 환경규제에 먼저 대비해 세계시장에 대한 우리 제품의 환경경쟁력을 더욱 강화하는 계기로 삼겠다는 취지다.
삼성전자는 ‘Eco 파트너’ 인증제도를 운용하고 있다. 삼성전자의 모든 협력사는 인증을 취득해야 하며 인증을 받지 못한 협력회사는 삼성전자와의 거래가 불가능하게 한다. ‘삼성녹색구매 가이드라인’도 만들었다. 삼성전자, 삼성SDI, 삼성전기, 삼성코닝, 삼성테크윈, 삼성코닝정밀유리가 글로벌 차원에서 사용을 규제하거나 금지하고 있는 환경관리물질을 목표시점까지 제품에서 감축 또는 전폐하기 위한 목적으로 추진된다. 협력회사는 파트너로서 이에 맞는 환경 관리물질 관리체계를 구축하게 된다.
LG도 그린파트너십을 운영중이다. 일종의 LG전자 협력사 친환경 인증제도로 LG전자에 부품, 원자재, 포장재, 부자재 등을 납품하는 모든 협력회사가 원재료 확보, 생산 및 출하 각 공정에서 유럽의 제품 친환경 규제에 맞는 제품을 공급하게 만들기 위한 제도다.
납·크로뮴·할로겐 등 환경 유해 물질을 제거한 공정 재료 및 장비의 개발과 국산화에 나선 업체도 속속 나오고 있다. 친환경 공정으로의 전환을 계기로 공정 장비 및 재료도 친환경 제품으로 무게 중심이 옮겨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일본 등 해외업체 중심으로 짜여진 기존의 시장 구도에 균열을 일으킬 수 있을 것이란 기대 때문이다. 에코조인·단양솔텍·청솔화학환경 등은 땜성을 개선한 무연솔더를 개발, 시장 개척에 전력하고 있다. 또 남아전자산업이 무연솔더용 리플로 장비를 생산하는 등 친환경 장비 개발에 참여하는 업체도 늘고 있다.
소니·노키아·모토로라 등 글로벌 업체들도 모두 유해물질을 줄이는 방향의 프로젝트를 추진중이다. 국내 업체들의 적절하고 능동적 대응을 통해 피해는 최소화 하면서 새로운 패러다임에서 우위를 점하는 게 필요하다는 평가다.
전자산업진흥회 강홍식 팀장은 “유해물질 제한 지침 발동이 임박했지만 그동안 중소업체들은 이해가 부족하거나 시험기관마다 미세한 오차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며 “아직까지 국제 표준 등도 미흡한 상태로 우리 기업과 연구소 등이 공동으로 기준을 만들어, 국제 표준선점을 통해 국내 전기전자업계의 위상을 높여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국제 환경유해물질 규정에 입각한 시험방법 표준화도 중요하다. 국가표준화는 물론이고, 국제적으로 여러 분석방법을 개발중인 시점에 우리나라가 국제규격을 제안하면서 국제표준화의 선점기회를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미국, 유럽 등 선진국의 환경규제에서도 선도적 대응 기틀을 마련함으로써 관련제품의 세계시장 진입 및 수출 증대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김승규기자@전자신문, seung@
◆RoHS· WEEE 추진 계획
RoHS는 국제무역의 핵심 과제로 부상한 환경규제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이다. EU 내에 수입되는 전기전자 제품의 유해물질 사용을 제한하는 지침으로 당장 2006년 7월 1일에 발동된다. EU 회원국내에서 유통되는 전기전자 장비에서 중금속인 납, 수은, 6가크로뮬, 카드뮴과 브롬계 난연재인 PBB(폴리브롬화비페닐)과 PBDE(폴리브롬화비페닐에테르)의 허용 기준치 이상의 사용을 금지하는 것이 주요 골자다. RoHS에서 규정하는 규제 대상 전기·전자 제품을 8개 품목 군별로 정리하면 교류 1000V와 직류 1500V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기 및 전자제품으로국내에서 생산되는 대부분의 제품이 포함된다.
RoHS는 지난 2003년 2월 논의가 시작돼 2004년 8월 회원국별 법규 제정을 마쳤다. 2005년 2월 과학적 증명을 고려해 만든 새로운 기준이 검토됐고 8월 유럽위원회에서 유해물질농도 (Cd:100ppm, 5대물질1000ppm)가 결정됐다. 특히 규정된 물질·재료 이외에 새로운 물질이 규제 대상에 포함될 수 있다.
EU는 WEEE도 진행중이다. 유럽시장에서 생산 판매한 제조업체가 모든 책임을 지고 회수, 처리, 재활용해야 함을 의미한다. 지난 2003년 2월 공고됐고 2005년 8월부터 폐전기·전자제품의 무료 수거와 생산자 의무부담 원칙을 적용했다. 특히 출시제품에 별도처리 표시를 의무화하고 있다.
2006년 12월부터는 품목별 재활용 달성 의무(가전배출 폐가전의 수거량: 거주자당 연간 4kg 이상) 기준이 적용될 예정이다. 2008년 12월에는 수거목표 재설정 검토가 예정돼 있다. 전반적 유해물질 제한이 강화되는 추세에 따라 수거 목표 물량은 더 확대될 것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폐전자제품 생산자 회수, 처리의 의무 등을 규제하고 있으며 회수 및 재활용률 확대, 친환경 디자인, 재활용 기술 등을 요구조건으로 달고 있다.
◆해외 주요기업 환경유해물질 제한 대응
제품에 대한 환경친화 향상을 위한 노력과 대응에 글로벌 주요 기업들이 모두 적극 나서고 있다. 친환경 생산체제 구축은 이제 선택이 아니라 필수 조건이 되고 있다는 평가다.
노키아는 금지·제한·저감물질로 구분한 화학물질 관리체계를 갖추고 있다. RoHS 및 WEEE에 대응하기 위해 금지물질 사용감축 계획을 마련했고 폐가전의 수집과 처리에도 많은 예산을 투입한다. 자사 제품에 대한 규제물질 함유현황을 꾸준히 파악하고 있다.
필립스는 환경에 영향을 주는 물질을 각각 1, 2, 3 등급으로 나누고 협력사 관리 등을 위한 가이드로 사용하고 있다. 1등급에는 벤젠이나 수은 같은 폐해가 가장 큰 것들로 대체물질이 없을 경우에만 사용이 승인된다. 2등급에는 비소, 납 등 금지되지는 않았지만 기술개발 등으로 제거해야 하는 물질이 포함된다. 3등급에는 질산염·붕소 등 사용량을 줄여 나갈 품목을 규정하고 있다.
HP는 지난 98년 공급업체를 대상으로 유해물질 사용을 규정하기 시작했다. 2003년에는 회사 차원의 RoHS 대응 팀을 구성해 글로벌 표준화에 참여했다. 2005년 초 처음으로 RoHS 지침에 준하는 디지털 카메라를 생산했고 2006년까지 전세계에 판매되는 모든 HP제품에 6대 유해물질 제거를 목표로 한다.
인텔은 무연제품인 플래시 메모리를 공급하기 시작했고 4가지 부가적 무연 패키징 기술을 개발하고 있으며 IBM도 내부 개발 프로그램과 함께 공급업자와 고객을 연계한 협력 프로그램을 강화하고 있다. 2003년 최초로 무연제품을 출시한 바 있다.
일본의 소니는 이미 그린 파트너로 승인된 업체로부터만 부품 및 원재료를 구입하고 있다. 2003년 납을 사용하지 않은 DVD 플레이어, 반도체 기기 등을 출시했으며 2004년 기준 85%의 조립기기에서 무연솔더를 사용중이다.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RoHS 규제 물질 함유 기능 전기·전자 부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