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등학교 ICT교육 시간 축소 움직임

 정부가 초·중등학교 재량활동 시간 축소를 추진, 공교육 정보통신기술(ICT) 교육이 유명무실해질 위기에 처함에 따라 전국 컴퓨터 교육학과 교수들이 집단 반발하고 나서는 등 파장이 확산되고 있다. 본지 12월 12일자 2면 참조

 전국 20여개 교육대학 및 사범대학 컴퓨터교육학과 교수들은 최근 ‘전국 교대·사대 비상대책위원회(위원장 김영기 경인교대 교수)’를 발족하고 교육과정 개편 철회를 위한 대정부 건의 및 대국민 홍보에 착수한 것으로 5일 확인됐다.

 이 같은 움직임은 교육인적자원부가 최근 주 5일제 수업 전면 도입에 앞서 초·중등학교 재량활동을 50% 줄이는 개정안을 마련하면서 일선 학교에서 컴퓨터 교육이 아예 시행되지 않을 우려가 높아지자 이해 당사자인 관련 학과 교수들이 직접 나선 것이다.

 비상대책위는 6일 대전 유성구 홍인호텔에서 ‘컴퓨터 교육 정상화를 위한 전국 교대·사대 컴퓨터교육과 교수 워크숍’을 개최하고 이 자리에서 결의문을 채택할 예정이다.

 대책위에 참여하는 교수들은 △컴퓨터교과를 국민기초공통과목으로 지정해 독립·필수화할 것 △IT를 기반으로 한 국가 산업 발전과 체계적인 컴퓨터 교육을 위해 이를 대학입시에 반영하는 방향으로 7차 교육과정 개정안이 전면 재검토돼야 한다고 주장한다.

 대책위에 참여하고 있는 최재혁 신라대 교수는 “컴퓨터 교육 축소는 21세기형 인재 양성에 큰 타격을 주는 동시에 컴퓨터교육학과 재학생 및 교수들에게는 폐과에 따른 심각한 문제를 안겨 줄 수 있는 사안”이라면서 “대학원생을 포함해 전국 6000여명의 예비 컴퓨터 교사도 갈 곳이 없어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원규 한국컴퓨터교육학회장(고려대 컴퓨터교육학과 교수)도 “전세계적인 추세를 거슬러 우리나라만 컴퓨터 교육을 말살하는 정책을 시행하려 한다”며 “비상대책위원회를 통해 이 같은 문제점을 국민에게 적극 알리고 대정부 건의 활동도 펼칠 것”이라고 말했다.

 김유경기자@전자신문, yuky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