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부문 제조업의 노동생산성이 비IT 부문을 크게 앞선 것으로 집계됐다.
10일 산업자원부가 지난해 3분기 제조업체의 노동생산성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IT 부문의 노동생산성은 전년 동기 대비 21.6% 증가한 213.0을 기록했다. 같은 기간 비IT 부문의 노동생산성은 4.0% 늘어난 118.6에 그쳤다. 노동생산성지수는 제조업산업생산지수를 노동투입량지수로 나눈 값이다. 지수가 높을수록 노동력 투입 대비 생산 성과가 좋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시간당 명목임금을 노동생산성으로 나눈 단위노동비용 역시 IT 부문은 전년 동기보다 8.7% 낮은 79.7을 기록, 오히려 3.1% 증가한 비IT 부문 139.0보다 크게 낮았다.
업종별로는 IT부문에 속하는 △영상·음향·통신장비 △전기기계·변환장치가 각각 24.5%, 14.5%씩 노동생산성이 증가해 노동생산성 향상 업종 1, 2위에 이름을 올렸다. 반면 노동생산성이 떨어진 업종에서는 컴퓨터·사무용기기(-10.7%)가 수위였다.
단위노동비용이 감소한 업종에서도 △전기기계·변환장치(-9.7%) △영상·음향·통신장비(-9.0%)가 각각 1, 2위를 차지했다.
한편 지난해 3분기 제조업 전체의 노동생산성은 9.5% 높아진 140.2를 기록했다. 산업생산이 전년 동기 대비 7.0% 늘어난 반면 노동투입량은 2.3% 감소한 것이 주된 원인으로 풀이됐다.
김승규기자@전자신문, se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