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식품 위해사고 방지를 위한 ‘식품기본안전법(안)’을 입법 예고한 가운데 풀무원·한국인삼공사 등 대형 식품업체를 중심으로 생산 이력시스템 구축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 이 법안은 사업자가 식품의 생산·유통 등 각 단계별로 추적관리에 필요한 사항을 기록·보관토록 의무화하고, 이와 관련한 사업자의 시설투자·연구개발 등 비용을 지원하는 것이 골자다.
18일 정부 및 업계에 따르면 복지부는 법안 시행과 함께 정보기술(IT)을 활용해 소비자가 식품의 생산이력을 확인하고 구입하는 ‘식품위해 사고에 대비한 추적관리체계 구축’ 연구과제를 4월께 완료한 후 식품업체를 대상으로 사업 확산에 나선다.
정부가 이처럼 식품 생산이력 추적관리 구축에 적극 나서는 것은 제조한 날짜의 식품 로트별로 사용된 재료를 구분·관리토록 함으로써 만두 및 김치 파동 등의 현상을 방지하는 등 실용적인 식품안전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서다.
이에 따라 식품산업 분야에서 타임 바코드·전자태그(RFID) 등 IT를 이용한 생산이력시스템 시장 창출이 기대된다. 식품산업 분야에 바코드프린터·서버·PDA·시스템통합 연구인력·키오스크 등의 수요가 새로 생기는 셈이다.
풀무원·한국인삼공사 등 대형 식품업체들은 법 시행에 앞서 타임바코드 형태의 생산이력시스템을 본격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타임바코드시스템은 기존 바코드(원산지·제조업체·제품정보 기록)에 제조일·유통기한을 추가로 인쇄, 생산이력·보관온도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함으로써 유통 기한 경과에 따른 식품 변질을 막을 수 있다.
풀무원은 생산이력시스템을 음성공장 6개 생산 라인 중 2개 라인에 하반기께 적용하고 품목도 두부 등에서 콩나물 등 유기 농산물로 확대하는 것은 물론 이마트 매장 적용도 적극 추진한다. 한국인삼공사는 상반기부터 생산 현장에 타임 바코드 형태의 생산이력시스템을 본격 도입할 계획이다.
특히 CJ도 생산이력 시스템 구축을 적극 검토하는 등 대형 식품업체를 중심으로 생산이력시스템 투자 분위기가 고조되고 있다.
이와 관련 타임바코드솔루션 업체 수퍼하이터치의 한 관계자는 “유통기한이 한정된 식품의 경과시간별 재고파악, 유통기한 임박 상품의 가격할인 정책 수립 등이 가능해 원가절감은 물론 제조물책임법(PL)에 적극 대처할 수 있다”며 “이같은 장점으로 생산이력시스템 구축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고 말했다.
대우정보시스템 한 관계자도 “정부의 식품 생산·유통 기록 및 보관 의무화 방침에 발맞춰 식품 업체들도 RFID를 생산·유통에 적용하려는 움직임이 최근 들어 눈에 띄게 증가하고 있다”며 “올해 초기 시장 공략에 적극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안수민기자@전자신문, smah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