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올해 산업정책 `상생협력`에 올인

 정부는 올해 산업정책의 주요 역점사업으로 ‘상생협력’을 꼽고 ‘성과공유제’의 전 사업장 확산 등 다양한 실천 방안을 추진한다.

 허범도 산업자원부 차관보는 “올해 산업정책의 최우선 목표를 양극화 해소에 두고, 이를 위해 상생협력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발굴해 적극 추진하겠다”며 “이를 위해 산자부는 특히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상생 모델을 찾고, 이를 지원하는 데 집중할 것”이라고 23일 밝혔다.

 양극화 해소는 대통령 신년사에도 포함된 올해 산업계의 최대 이슈로, 산자부는 이를 구현하기 위해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성과를 배분하면서 공생하는 분위기 마련에 힘쓰기로 했다.

 특히 대·중소기업 상생의 교량 역할을 하는 ‘성과공유제’를 전 사업장으로 확산시키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또 우수 중소기업의 기술과 제품이 사장되지 않도록 대기업의 적절한 수요 확대를 유도할 방침이다.

 산자부는 지난 연말 마련된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방안’을 토대로 10대 그룹 위주로 진행돼오던 상생협력을 공기업·30대 그룹으로 저변을 넓히며 IT·제조업 중심이던 상생협력 프로그램을 유통·서비스 등 다양한 분야로 확산하는 것은 물론이고 이종산업 간 협력도 적극 유도키로 했다.

 허 차관보는 “대·중소기업 상생협력은 무엇보다 실천이 중요하다”며 “정부 주도에서 기업 중심으로 상생협력이 확산되는 데 초점을 맞추겠다”고 설명했다.

 이경우·김승규기자@전자신문, kwlee·se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