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DMB 전국 상용화 월드컵때까지 불가능

 지상파DMB 전국 상용화가 사실상 독일월드컵 이전에 불가능할 전망이다. 또 본방송은 물론 전국단위 시험방송 역시 현재로선 불투명한 상황이어서, 지상파DMB 전국화가 난항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방송위원회는 31일 “지상파DMB의 전국화를 위해서는 주파수 확보를 위한 기존 간이중계소(TVR) 조정이 필요한데 빨라야 9월이나 10월께 가능하다”며 “월드컵 이전에 본방송을 하는 것은 물리적으로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방송위 고위 관계자는 “지역 지상파DMB의 경우 방송권역 획정 등이 필요한데 아직 결정된 바 없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당초 업계에서 예상했던 △1∼2월께 정책방안 확정 △상반기 중 사업자 선정 및 시험방송 실시 △하반기 전국 본방송 시작 등은 연기가 불가피할 전망이다.

방송위 관계자는 “지역 지상파DMB의 방송권역 획정을 놓고는 정통부와도 협의를 해야하는 상황”이라며 “2월께 전문가 토론회 등을 통한 의견수렴 절차를 거쳐, 빠르면 3월께 방송권역 획정 방안을 포함한 도입 일정 및 정책 방안을 마련해 발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상파DMB 전국화에는 주파수 확보와 방송권역 획정이 중요한 전제 조건이다.

방송위는 지난해 주파수 확보를 위해 필요한 KBS 42개 TVR, MBC 2개 TVR 등 44개 TVR의 이전을 지원할 41억원을 올해 예산으로 확보한 바 있다. 그러나 TVR 이전 작업은 아직 본격적인 작업에 착수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일단 물리적으로 전국 본방송은 10월 이후에나 가능한 셈이다.

논쟁이 예상되는 방송권역 획정은 아직도 결론이 나지 않았다. 우선 방송위가 연구용역을 준 보고서는 5개나 6개 권역을 제안했으나, 이는 경제성 측면에서 불가론이 제기되는 상황이다.

업계 관계자는 “2000만 이상의 가시청 인구를 가진 수도권 지상파DMB 사업자들도 수익성이 불투명한 상황인데 전국을 5∼6개로 쪼갤 경우 지역별 사업자들이 자립할 기반이 없다”고 지적했다. 방송위 상임위원들은 이같은 문제를 놓고 고민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상파DMB 전국화는 따라서 이번 달에 개최될 전문가 토론회와 함께 지역MBC와 지역 민방들이 어떤 입장을 취할지에 따라 정책 방향 역시 영향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성호철기자@전자신문, hcs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