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 부총리 "최고과학자지원사업 지속여부 검토해볼 사항"

과기 부총리 "최고과학자지원사업 지속여부 검토해볼 사항"

 김우식 제2대 부총리 겸 과학기술부 장관이 황우석 거짓 논문 파문으로 존폐 논란에 휩싸인 최고과학자 지원사업 지속 여부에 대해 “검토해 볼 사항”이라고 밝혀 주목된다.

 김 부총리는 14일 과기부 출입기자단과 만나 “우수 인재를 발굴해 적극 지원하는 원칙에는 찬성하지만 과연 한 사람에게 매년 30억원씩 줘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라며 “단위 과제당 액수가 많아야만 좋은 것은 아니고, 적정 규모를 선정해서 재원을 고루 배분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무엇보다 맵(map)을 잘 그려야 하는데 기초·원천기술과 연관 효과가 나는 기술들을 잘 캐치 업(catch up)해서 적절하게 예산을 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부총리의 이 같은 인식과 발언은 ‘올해 제2, 제3호 최고과학자를 뽑겠다’는 정부(과기부) 계속 지원 방침과 사뭇 달라 향배에 시선이 모인다. 또 매년 30억원씩 최장 5년간 우수 과학자를 지원하는 최고과학자 지원사업이 지난 2004년 과기부가 추진한 ‘베스트5 사업’으로 뽑히는 등 기존 정책 방향과 신임 부총리 철학이 어떻게 조율될 것인지 관심거리다.

 김 부총리는 이날 △과학기술 대중화와 생활화 △과학기술 특성화와 효율화 △과학기술 세계화를 제2기 과학기술 부총리 재임중에 펼칠 3대 정책 기조라고 밝혔다.

 그는 “과학기술의 대중화와 생활화를 위해 일반 국민의 과학기술에 대한 이해도와 애정이 깊어야 한다”며 “과천에 새로 세울 국립과학관과 대전 국립중앙과학관이 제 역할을 해줘야 한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미래 유망기술 투자 기술별로) 경쟁력이 있는 것과 없는 것이 가려질 것이기 때문에 선택과 집중으로 특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하고 “과학기술 세계화를 위해 글로벌 네트워킹에 주력하고 해외 우수 인재들을 적극 활용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김 부총리는 또 “국가 경쟁력이 과학기술 경쟁력이고, 과학기술 경쟁력은 교육 경쟁력에서 나온다”며 우수 인재 정책에 대한 의지를 피력했다.

 이은용기자@전자신문, ey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