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에 산재한 각종 특화센터와 인프라를 테크노파크(TP·거점기관) 중심으로 통합 또는 연계·운영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 지역혁신사업 추진체계 개편방안(이하 기본안)의 세부 실행방안을 담은 정부 가이드라인의 윤곽이 드러났다.
16일 산업자원부와 관련 기관에 따르면 애초에 전북TP와 통합하기로 된 전북 자동차부품산업혁신센터의 경우 통합대상에서 제외되고 비통합대상으로 분류된 전남 신소재기술산업화센터는 통합대상에 포함하는 등 52개 특화센터 중 25개는 TP와 통합운영하고 나머지 27개는 거점기관과 연계해서 운영키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현재의 TP원장 직속의 전략산업기획단 체제는 유지하되 기획업무는 기획단장을 거쳐 거점기관의 장이, 평가업무는 기획단장이 관할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검토되고 있다.
산자부는 지난해 8월 마련한 기본안의 실행상 문제점을 파악해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정부 가이드라인을 이달 중 확정하고 추진체계 개편을 위한 ‘산업기술단지지원에관한특례법’과 사업별 운영요령 등을 상반기 중에 개정한다는 계획이다.
세부실행방안에 따르면 부산지역의 경우 디지털생산기술혁신센터, 기계부품·소재기술지원센터 등 5개 센터가 부산TP로 통합됐고 4개 센터는 현행대로 민간협회나 전문생산연구소를 통해 연계해서 운영된다. 대구지역은 나노 부품실용화센터, 모바일단말상용화센터 등 5개 센터가 대구TP에 통합됐고 메카트로닉스부품센터 등 4개 센터는 현행유지된다.
광주지역은 디지털컨버전스센터 등 5개 센터 모두 현행대로 전문생산연구소나 민간협회를 통해 유지되고 경남지역은 바이오벤처프라자를 제외한 3개 센터가 경남TP에 통합돼 운영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 충북지역의 4개 센터가 거점기관으로 통합되고 충남지역에서는 디스플레이산업지원센터와 영상미디어산업사업화센터가 충남TP에 통합됐고 전북지역에서는 3개 센터 모두 현행을 유지하게 된다. 전남지역은 신소재기술산업화센터가 거점기관으로 통합되고 나머지 3개 센터와 사업은 현행대로 자체 운영된다.
한편, 거점기관은 거점기관 중심의 통합장비도입심의회를 구성·운영하고 인프라 활용 R&D사업, 노후장비 교체사업 등을 수행하게 된다. 아울러 기술별·산업별 네트워킹 체계를 운용함으로써 이노카페·네트워크 허브·산학연 연계 운영사업 등을 거점 기관 중심으로 운영하게 된다.
특화센터는 애로기술 해소, 관련 기술 특허 동향, 전문인력 양성 등 거점기관이 하지 못하는 전략분야의 전문적 기업지원 서비스에 특화하게 된다.
주문정기자@전자신문, mjjoo@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지역혁신산업 추진체계 개편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