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25시]내가 먼저 실천 하기

“문화부의 관심이 다시 영화에만 집중될 여지가 많습니다. 하지만 게임은 국가에서 차세대 성장동력산업으로 인정하지 않았습니까. 벌써부터 포기할 순 없는 노릇이죠.”

최근 영화인 출신인 김명곤 전 국립중앙극장장이 문화부장관에 임명되자 나온 게임업체 관계자의 반응이다. 노무현 정부는 지방선거를 앞두고 4개 부처의 장관을 전격 교체했다. 이 가운데 게임산업에 많은 관심과 의지를 내비췄던 정동채 장관이 포함돼 있어 업계가 술렁이고 있다.

 이유는 정 장관 후임으로 내정된 인물이 김명곤 전 국립중앙극장장이었기 때문이다. 그는 각종 연극과 영화, TV드라마에 출연했던 배우이자 연출자로서 게임과 거리가 먼 인연을 지니고 있다. 이에 따라 이창동 전 장관 시절로 되돌아 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의 목소리가 여기저기에서 나오고 있다.

그들이 지적하는 내용의 핵심은 장관 자신이 몸담았던 분야를 편애해 영화가 아닌 분야는 정부의 지원이 줄어들고, 결국 다른 분야는 힘들어질 것이라는 설명이다. 이미 그부분은 전임 이 장관이 몸소 ‘실천’해 보인 바가 있어 염려스러운 것 또한 사실이다.

국내 게임산업이 급속히 성장하면서 세계로 뻗어 나가고 있다지만 해외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아직 갈길이 너무나 멀다. 정부의 지원 사격이 없으면 여러모로 힘에 부친다. 막대한 자본과 고급 인력으로 무장한 글로벌 업체들과 경쟁하기엔 국내 업체들의 힘은 미약하기만 하다.

그러나 임명되기도 전에 불만을 토로하고 우려의 시각만 내비쳐서는 않될 일이다. 게임업계가 앞으로 어떻게 하느냐에 달려 있기 때문이다. 마주 보고 허심탄회한 대화도 나눠 보지 않고 출신지만으로 앞날에 대해 걱정하는 것은 너무 성급한 모습이다. 장관이 누가 됐든 정부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다양한 사업을 함께 꾸려나갈 수 있도록 먼저 준비의 노력부터 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실천도 없이 “어디 출신이니 같이 일하기 어렵겠네”라며 뒤에서 팔짱만 끼고 바라보는 것도 바람직한 대응은 아니다. 그러기 전에 먼저 장관이 초청하거나 참석하는 자리에 특별한 이유도 없이 불참하고 대타를 보내는 못된 버릇부터 고치지 않으면 안될 것이다.

장관이란 자리는 정치의 영향을 크게 받는 곳이다. 언제 누구로 바뀔지는 아무도 모른다. 이제는 정부의 눈치나 보면서 손 놓고 있기엔 해외 업체들이 치고 올라오는 속도가 너무 빠르다. 정부에 바라기에 앞서 먼저 노력하고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분위기를 만들어 나가는게 업계가 해야할 일이 아닐까 싶다.

<김성진기자 harang@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