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지상파DMB 6개 사업자는 3월 1일로 모두 본방송 대열에 올라섰다. 지난해 12월 1일 KBS·MBC·SBS·YTN DMB 등 기존 방송 인프라를 가진 사업자들이 본방송에 나섰고 이달 1일엔 신규 진입 사업자인 한국DMB 등이 본방송을 시작했다.
수도권 6개 사업자 본방송 시작으로 지상파DMB는 탄력을 받고 있긴 하지만 풀어야 할 숙제도 여전하다. △음영지역 해소를 위한 중계망 구축 △지상파DMB용 양질의 콘텐츠 확보 △지상파DMB의 전국화 등이 그것이다.
첫손에 꼽히는 과제는 중계망 확보다. 지상파DMB 시청자들이 언제 어디서든 방송을 볼 수 있어야 하는데 아직 지하철과 대형건물 지하 등에선 시청할 수 없는 게 현실이다. 6개 지상파DMB 사업자의 단일 의사 결정기관인 지상파DMB특별위원회에 따르면 6월 하순까지는 서울 1∼8호선을 비롯해 철도공사노선과 인천지하철노선에 모두 중계망을 설치할 계획이다. 표 참조
가장 먼저 설치된 곳은 인천지하철노선. 그러나 준공검사를 담당하는 서울 체신청이 인천지하철 구간의 지상파DMB 중계망이 신규 무선국시설 허가 이전에 완료된 것이어서 지상파DMB용 신호송출이 불법 소지가 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지하철 구간의 음영지역을 해소한 첫 사례로 기록될 인천지하철구간 지상파DMB서비스가 당분간 늦춰지게 됐다.
또 서울 지하철 5∼8호선의 중계망 구축을 놓고 6개 지상파DMB 사업자와 도시철도공사 간 갈등도 문제다. 도시철도공사와 지상파DMB사업자들은 사용료에 대해 합의해야 하는 상황이다. 양측은 최근 협의를 진행하며 타협의 가능성을 높이고 있는데 해법은 ‘중계망 구축은 먼저 시작해 6월 전 마치도록 노력하고 대신 사용료 책정은 제3의 기관에 용역을 맡겨 이를 존중한다’로 매듭지어질 공산이 크다.
지상파DMB의 전국화도 뜨거운 감자다. 아직 수도권에서만 제공되는 지상파DMB를 전국으로 확장시키기 위해선 무엇보다 방송위원회의 정책안이 나와야 하는데 이를 놓고 논쟁이 일고 있기 때문이다. 쟁점은 방송권역 획정과 사업자 구도로 요약된다. 방송권역 획정은 KBS·MBC 등 지상파방송사들이 ‘비수도권 단일 권역’을 주장중이다. 수도권의 지상파DMB사업자들도 과중한 투자 부담과 수익모델 부재로 허덕이는 상황에서 지방을 쪼개놓으면 좌초할지 모른다는 것. 반면 지역민방과 19개 지역MBC 노조는 지상파DMB가 지역성과 공익성을 보장하기 위해선 최소 6개 권역으로 나눠야한다고 맞서고 있다.
또 사업자 구도는 YTN 등 신규사업자들이 2+1안을 주장했다. 사업자 선정시 3개 사업자를 동일 기준으로 선정하면 기존 지상파방송사가 모두 사업권을 획득할 것이란 우려가 바탕에 깔려 있다. 지상파DMB가 뉴미디어인만큼 신규 사업자 진입이 가능해야 하며 이를 위해선 3개 사업자 중 1개는 별도 몫으로 떼어내자는 것. 그러나 신규 사업자를 위해 기존 사업자를 역차별할 여지가 있다. 방송위는 지상파DMB 활성화를 위해 가능한 한 이른 시일 내에 지역지상파DMB 정책방안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성호철기자@전자신문, hcsung@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지상파DMB의 지하철 기관별 중계망 구축 추진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