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을 국제 비즈니스 첨단도시로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u서울 마스터플랜 단계별 시행 계획

 4일 발표된 서울시의 ‘u서울 마스터플랜’은 뉴타운을 비롯한 4개의 선도사업과 6개의 향후 전략과제 분야가 구체적으로 제시됐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향후 10년간 단계별 소요비용이 적시된 것도 관련 사업자와 시민이 프로젝트의 규모를 가늠케 한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다.

 마스터플랜에 따르면 현재 총 26곳(시범 뉴타운 3곳, 2차 12곳, 3차 11곳)에 이르는 서울시내 뉴타운은 앞으로 u서울을 대표하는 최고의 주거공간으로 탈바꿈하게 된다. 특히 u뉴타운으로 조성되는 곳에는 ‘통합운영센터’가 구축돼 제공 서비스에 대한 운영과 첨단 시설물 관리, 긴급상황 모니터링, 외부정보 연계 관리 등의 역할을 맡게 된다.

 박정호 서울시 정보화기획단장은 “통합운영센터는 기존 동사무소나 경찰지구대 등의 업무를 상당 부분 수용한다”며 “이를 통해 각종 행정·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말했다.

 향후 10년간 8000억원의 사업비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는 u서울 프로젝트의 투자 재원은 시 예산과 민·관 공동투자 방식으로 충당한다는 게 시의 방침이다.

 예컨대 자립형 사립고의 설립이 추진되고 있는 뉴타운은 해당 기관인 서울시교육청의 투자를 적극 유치해 재원을 마련하는 식이다. 실제로 서울시는 310억원이 들어가는 1단계 사업비 가운데 80억원을 서울시교육청으로부터 투자받을 계획이다. 나머지 사업비 역시 시 예산은 90억원 정도고, 대부분의 소요비용은 SH공사(옛 서울시도시개발공사) 등 뉴타운 개발주체 기관과 민간을 상대로 거둬들인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이 경우 u뉴타운 조성 자체가 분양가 상승 등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어 입주민의 반대가 우려된다. 대책마련이 요구되는 부분이다. 통신사업자 등 민간업체의 투자 유도 역시 u서울 조성 이후 관리비 등의 상승 원인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중앙정부와의 관계도 문제다. 최근 행정자치부는 ‘u지역정보서비스 추진계획’을 발표하고 각 지자체의 u시티 사업을 공동 발주키로 했다. 이런 상황에서 서울시가 자체 마스터플랜을 마련, ‘단독 플레이’를 선언한 셈이다.

 이에 대해 박 단장은 “각 지자체의 공통분모가 되는 사업 분야에 대해서는 공동 발주가 가능할 것”이라면서도 “지자체별 특성을 감안한 유연한 정책 집행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따라서 박 단장은 ‘국제비즈니스 도시’라는 서울시 컬러에 부합하는 특화 사업은 앞으로도 단독 발주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류경동기자@전자신문, ninan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