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에프캠프 中 RFID 생산현장을 가다

중국 현지 직원들이 현미경을 보며 서울시 승용차요일제용으로 쓰일 RFID 칩에 안테나를 연결하는 미세 작업을 하고 있다.
중국 현지 직원들이 현미경을 보며 서울시 승용차요일제용으로 쓰일 RFID 칩에 안테나를 연결하는 미세 작업을 하고 있다.

 중국 산둥성 칭다오 지모시 경제개발구 내에 위치한 전자태그(RFID) 전문업체 알에프캠프(대표 유재형 http://www.rfcamp.com)의 생산공장.

 칭다오 류팅국제공항에서 차로 20분 거리에 있는 이 공장의 생산라인은 요즘 자정이 넘은 시간까지 불이 꺼지지 않는다.

 “서울시 승용차 요일제에 사용될 RFID를 납기일에 맞추느라 기존 제품의 생산까지 일시 중단하고 서울시 납품제품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 공장 책임자인 박형욱 총경리는 120여명의 현지 생산인력을 풀가동, 현재 하루 6만∼7만개의 태그를 쏟아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자동차로 40분 거리에 떨어진 칭다오 항구와 항공편으로 공수되는 칩·안테나 등 인레이용 원자재는 입고 때부터 전수검사를 거친다. 본딩·몰딩·어테칭 등 여러 생산공정을 거치는 중간 제품 역시 각 단계가 끝날 때마다 하나씩 전수검사가 이뤄진다.

 대부분 수작업을 통해 이뤄지는 생산·검사 공정이 첨단 RFID에 걸맞지 않게 일견 ‘원시적’이다.

 이에 대해 장기문 공장장은 “에일리언 등 세계적인 태그 생산업체는 COB 방식 등으로 대량의 태그를 기계로 찍어내고 있지만, 불량률이 매우 높다”며 “하지만 우리는 수작업 특유의 꼼꼼함으로 불량률을 거의 제로 수준으로 낮출 수 있었으며, 중국 인건비가 저렴해 가격경쟁력도 확보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곳 생산인력의 대부분은 10대 후반의 손재주 좋은 현지 여성이다. 육안으로는 보이지도 않는 RFID 칩에 안테나를 연결하는 기술은 2∼3개월의 별도 교육이 요구되는 숙련된 작업이다. 특히 야근수당을 포함해도 1인당 월평균 임금이 우리 돈 10만원 안팎이라 생산라인을 자동화하는 것보다 경제적이라는 게 박 총경리의 설명이다.

 하지만 알에프캠프는 검사 장비만큼은 고가의 최신 모델로 신규 도입, 이달 일선 생산라인에 설치가 완료된다.

 이 회사 유재형 사장은 “비파괴검사 장비 등을 현재 공수하고 있다”며 “이를 위해 지난 2월 삼성벤처투자 등에서 투자받은 15억원의 대부분을 장비 구입에 썼다”고 말했다.

 알에프캠프는 공장의 생산능력을 올 연말까지 월 100만개로 늘려, 미국 체크포인트시스템스에서 수주한 수출 물량과 한국의 4개 u-IT 선도사업에 납품될 태그물량의 안정적 확보에 만전을 기할 예정이다.

 칭다오(중국)=류경동기자@전자신문, ninano@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