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 성장동력인 나노기술(NT)을 육성하기 위한 정부 지원정책의 일환으로 지난 2003년 결성된 ‘한·미 나노포럼’이 4년째 양국 과학자 간 민간 교류 수준에만 머물러 있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과학기술계에서는 소관 부처인 과학기술부가 포럼을 국제 협력 성과물로 홍보하는 데만 치중해 후속 조치 마련에 소홀하다는 쓴소리도 나오고 있다.
과기부가 주최하고 나노기술연구협의회가 주관해온 한·미 나노포럼은 한·미 양국의 NT 전문가들이 만나 세계 NT 동향을 공유하고 NT 육성을 위한 협력방안을 논의하는 모임. 과학자가 주축을 이루지만 미 과학재단(NSF),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등 정부 출연연과 과기부 등 양국 정부 관계자도 참석하는 민·관 공동 국제 행사다.
2003년과 2004년, 올해 세 차례에 걸쳐 우리나라와 미국에서 번갈아 개최된 포럼에서는 양국의 참가자들이 NT 발전 방안을 ‘대정부건의문(recommandation)’ 형태로 도출해 제안하면 각 정부가 정책에 반영하는 형식으로 진행돼 왔다.
그러나 과기부에 확인한 결과 나노포럼의 대정부건의문이 실제 정부의 NT 육성정책으로 시행된 사례는 공식적으로 집계된 바 없었다.
2004년 말 열린 제2회 나노포럼 결과 미국 측 제안으로 한·미 간 NT 교류를 위해 국제협력센터(International Partnership Centers) 설립에 미 과학재단이 50만달러를 지원하고 과기부가 추가 지원금을 내는 공동 기금 조성 계획이 건의문에 채택됐으나 과기부 정책에 반영되지 않았다.
이 밖에도 1회와 2회 나노포럼에서 젊은 과학자 교환 프로그램 수립, NT 분야 순회 전시회 개최 등 다양한 협력방안이 논의됐지만 구체적인 의제나 시행계획은 도출되지 않았다.
이에 대해 노재익 과기부 원천기술개발과 서기관은 “포럼의 건의문을 정부가 100% 수용할 의무는 없으며 담당자가 바뀐 이후 과거 포럼의 결과물에 대해 인수인계를 받지 못해 정확한 상황을 파악할 수 없다”고 밝혔다.
조윤아기자@전자신문, fora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