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대역통합망(BcN)에서 경쟁력 있는 서비스는?’
BcN은 유선·무선·방송·인터넷망 등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융합해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차세대 통신망 개념이다.
즉 지금까지는 유선망(음성전화)과 인터넷망(인터넷서비스, 데이터 및 영상 전송)의 용도가 명확히 구분돼 왔다면 BcN에서는 이런 서비스들이 통합망에서 함께 제공되거나 망 구분없이 융합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는 것. 현재 법적인 이유로 막혀 있는 IP TV는 인터넷망으로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는 개념이니 BcN 시대의 대표적인 서비스다.
네트워크 진화 관점에서 볼 때 BcN은 당연한 변화로 받아들여지고 있지만, 비즈니스 모델 측면에서는 풀어야할 숙제가 적지 않다. 근본적으로 바뀌는 망 구조에서 새롭게 제공할 상품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현재 통신망의 근간인 유선망(시내망)을 보유하고 있는 KT는 더욱 그렇다. 올해 전국 13개 중계망 교환기를 소프트스위치로 교체하는 등 BcN 근간을 이루는 IP망 구축에 본격 나서는 KT로서는 BcN 기반의 비즈니스 모델도 고민할 때다.
미래 사업을 전담하고 있는 KT 사업개발부문은 최근 마케팅부문 및 R&D부문 등 유관 부서 관련 임원들과 함께 BcN 기반의 서비스 모델에 대한 난상토론을 벌였다. 다시 말하면 기존 유선망을 IP망으로 전환하면서 음성 외에 기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네트워크를 구축하게 되는데 KT가 이 망 위에서 제공할 새로운 상품을 찾자는 자리였다.
KT의 사업개발부문에서는 제주지역 망 구축과 함께 영상전화기를 보급, ‘효도폰’과 같은 영상전화 서비스를 시작하자는 안을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도시지역의 자녀가 고향에 있는 부모에게 영상으로 얼굴을 보여주고 안부인사를 전하는 상품을 출시하자는 것. 그러나 이 상품의 성공 여부에 대해서는 참석자들 사이에서도 논란이 일었다는 후문이다.
영상통화는 새로운 서비스가 아닌데다 기존에도 그리 호응이 높지 않았기 때문이다.
망 진화에 따라 서비스는 어떻게 진화할 것인지, 이래저래 IPTV는 물론 트리플플레이서비스(TPS) 제공이 막혀있는 KT로서는 답답한 노릇이다.
한편 KT는 이달 중 제주지역을 대상으로 기존 PSTN 망 기준으로 200만 가입자,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기준으로 50만 가입자를 각각 수용할 수 있는 규모의 IP망을 구축한다. 또 올해 전국 60여 대의 중계망 교환기 가운데 13대를 7∼10대의 소프트스위치로 전환해 BcN 구축에 본격 나설 계획이다.
신혜선기자@전자신문, shinh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