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시티`도 거품?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u시티 관련 협·단체 현황

 유비쿼터스 기술의 집합체로 평가되는 u시티에 관심도가 높아지자 관련 협·단체가 우후죽순처럼 생겨나고 있다. 지난해까지만 하더라도 한 개뿐이던 협·단체는 올해 들어 4개로 늘어났다. 여기에 이달을 기점으로 한 개가 더 생겨날 예정이어서 하반기에는 5개가 본격 활동에 들어간다. 특히 이달 출범할 새로운 단체를 포함해 최근 한달 사이에 3개나 새로 조직됐다.

 ◇원조는 누구?=지난해 출범한 u시티포럼을 비롯해 신생 협·단체에 이르기까지 모두 원조를 표방하고 있다. 협·단체 창립의 대의명분은 u시티 활성화지만 서로 활동영역이나 구성원이 다르다는 점에서 사실상 모두가 원조인 셈이다.

 지난해 5월 출범한 ‘u시티포럼’은 u시티 관련 국내·외 표준개발을 주도하고 산·학·연·관·민 전문가들의 역량을 집중해 u시티 활성화에 기여하겠다는 취지다.

 KT가 회장사를 맡았고 IT서비스·건설·통신분야 유수의 업체들을 포함해 한국토지공사·대한주택공사·한국건설기술연구원·유비쿼터스컴퓨팅사업단·지자체·대학 등이 임원사 또는 회원사로 활동한다. 조만간 포럼을 협회로 확대 발전시킨다는 계획도 세웠다.

 올 들어 지난 5월에는 대한주택공사·건설교통부·정보통신부·산업자원부·한국홈네트워크산업협회 등을 비롯해 건설·통신·가전 업체를 회원사로 둔 ‘u홈건설협의회’가 u시티를 통해 투영될 첨단 유비쿼터스 주거문화산업의 세계화를 기치로 내걸고 출범했다.

 지난달 22일 설립된 ‘한국유시티연구조합’은 IT서비스·GIS·센서·하드웨어·네트워크 분야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뭉쳤다. 주된 연구내용은 u시티 관련 국책 공간정보 연구개발 사업의 수행과 보급 등이다. 조합은 현재 과기부에 법인설립 등록을 진행중이다.

 이어 27일에는 한국IT벤처기업연합회가 ‘u시티전문협의회’를 설립했다. 중소기술벤처기업을 중심으로 중소기업을 위한 u시티관련 기술개발, 서비스 표준화, 법·제도 정비를 추진한다.

 다음주에는 가칭 한국토지공사를 회장사로 하는 ‘한국유비쿼터스(건설)산업협회’가 출범한다. 모집중인 회원사는 IT서비스·지자체·도시개발공사·IT기업 등이다. 명칭에서는 유비쿼터스를 표방하지만 이 협회 역시 u시티 요소기술 분야의 표준화 등을 주목적으로 활동할 계획이다.

 ◇난립 아닌 시너지 효과 필요=u시티가 올해 화두로 부상함에 따라 각 분야, 대·중소기업을 아우르는 협회·연구조합 등이 잇따라 생겨나면서 협·단체 난립에 따른 폐해를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다.

 각계각층의 목소리를 담는 작업이 필수적이지만 한정된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임원사는 물론이고 회원사를 구성하다보니 겹치기 출연에 따른 회원사의 부담도 걱정이다. 일반적으로 일정 규모를 갖춘 협·단체에서 대기업이 회장사나 부회장사를 맡게 되면 연간 회비가 수천만원에 이르러 비용부담이 적지 않다.

 여기에 협·단체의 소속 부처도 각양각색이어서 해당기업은 여러 곳에 발을 담고 있어야 하는 부담도 있다.

 또 다른 문제점은 각 협·단체가 공조 없이 난립할 경우 이해관계로 인한 불협화음이 빚어질 수 있어 경쟁보다는 화합의 분위기가 절실하다는 지적이다.

 u시티 분야 전문가인 한 교수는 “u시티 산업이 태동하려는 중요한 시점에 국가적인 응집력이 필요한데도 유사성격의 협·단체가 최근 급격히 늘어나고 있고, 부처별로 이를 추진하면서 구심점이 분산되는 등의 역효과가 우려된다”며 “최근 u시티 포럼과 신설된 u시티전문협의회 등이 제휴하기로 한 것처럼 u시티 관련 협·단체는 경쟁이 아닌 시너지 효과 창출을 위한 협력에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정훈기자@전자신문, jhchoi@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