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 내 신호전달물질(단백질)인 ‘칼시뉴린(calcineurin)’이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만성 염증을 유발하고 관절을 파괴하는 주범으로 밝혀졌다.
김완욱 가톨릭대학교 교수팀(의과대학)은 칼시뉴린이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의 관절조직(활막)에서 비정상적으로 증가·흥분하면서 면역계 이상을 일으키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을 규명했다고 31일 밝혔다.
연구팀은 또 생쥐실험을 토대로 칼시뉴린을 억제하는 단백질인 ‘캐빈(cabin) 유전자’를 이용한 관절염 치료 가설을 내놓았다. 연구성과가 면역 학술지인 ‘저널 오브 이뮤놀로지(Journal of Immunology)’ 8월호에 소개됐다.
이은용기자@전자신문, ey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