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풀뿌리 정보화의 초석이 되는 정보화마을 사업이 ‘불량마을 솎아내기’에 들어간다.
12일 행정자치부에 따르면 최근 전국 191개 정보화마을을 상대로 전반적인 운용실태를 파악하고 성과가 미흡한 마을에 대해서는 컨설팅을 진행중이다.
컨설팅 대상 마을은 강화 낙조마을을 비롯해 김포 두레마을, 영덕 대게마을, 청양 구기자고추마을 등 총 18개다. 컨설팅 내용은 부진 원인 분석과 해결방안 모색을 비롯해 △정보화마인드 교육 △평가지표 개발 △성과분석 매뉴얼 도입 등이다.
행자부는 자치정보화조합 등에 컨설팅을 의뢰, 마을 방문실태조사와 내부컨설팅, 발전방안 마련 등을 추진중이다. 조합은 현재 마을방문 현장조사와 기초분석 설계를 마친 상태다. 행자부는 올 연말까지 실행계획 수립, 마을 재평가(3차 방문) 등을 거쳐 내년 4월께 정보화마을 지정 해제 등 본격적인 솎아내기 작업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김남석 행자부 전자정부본부장은 “일부 부실 마을이 전체 정보화마을의 이미지를 흐리는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이들 마을을 대상으로 충분한 시간과 기회를 주되, 끝내 별다른 호전이 보이지 않는 곳은 부득이 정보화마을 지정을 해제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현재까지 진행된 중간 평가 결과에 따르면 대다수 컨설팅 대상 마을에서 주민 참여와 해당 시도의 지원이 개선되고 있다는 게 행자부측 설명이다.
한편 행자부는 최근 ‘정보화마을 중장기 계획’을 마련하고 당초 전국 1420개 마을 규모로 추진된 정보화마을의 조성규모를 800개 내외로 대폭 축소한다는 방침이다. 대신 정보화마을을 전자상거래, 관광·레저 등 각 지역 특성에 맞는 특화형 빌리지로 발전시킨다는 게 행자부의 전략이다.
류경동기자@전자신문, ninan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