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와 전남·북 등 인접 시·도가 제각각 의료와 생물산업 육성을 추진해 중복 출혈경쟁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광주시는 지난 4월 초고령화 사회에 대비해 노화종합연구소 유치와 고령친화산업지원센터 등을 설립해 광주를 서남권의 장수의료산업 중심지로 육성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힌 뒤 세부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시는 국가 출연기관인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과 협약을 맺고 노화연구사업단을 설치하기도 했다.
전남도도 지난 8월 의대 교수 등 15명으로 노화종합 연구소 유치위원을 위촉하고 유치전에 본격 뛰어들었다.
노화종합연구소는 보건복지부가 현재 설립타당성 용역을 추진하고 있으며 연말께 결과가 나오는 대로 지자체를 대상으로 부지선정에 들어갈 계획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역 경제계에서는 “한 지역이나 마찬가지인 광주·전남이 서로 노화종합연구소를 유치하겠다고 경쟁하는 것은 지역 역량의 낭비를 초래할 뿐”이라며 “광주와 전남도가 공동혁신도시를 유치한 사례처럼 힘을 결집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생물산업 육성은 전남도와 전북이 서로 맞붙어 정부 지원 사업비 확보 등에서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고 있다.
전남도는 최근 내년부터 오는 2016년까지 총 2120억원을 투입하는 ‘생물산업 육성 10개년 계획’을 발표하고 생물자원을 첨단 제품화 기술과 연계, 생물식품 산업을 적극 육성해 나가기로 했다.
이에 뒤질세라 전북도도 생물·생명산업을 전략산업으로 육성하겠다고 밝힌 뒤 한국식품연구원과 농진청 산하기관 이전 예정 등으로 객관적인 여건에서 전남보다 앞서있다며 홍보를 강화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내년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각 정당의 대선 주요공약에 각 지자체의 주력사업을 포함시키기 위한 사전 포석으로 해석하며 향후 전남과 전북의 사업비 확보를 위한 치열한 주도권 다툼으로 이어져 자칫 과열경쟁을 불러일으키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광주=김한식기자@전자신문, hs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