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전국 74개 주요 공과대학이 특정 기업이나 지역산업 여건 및 핵심역량에 따른 산업맞춤형 대학으로 특성화되고 공과대학 산업기여도 평가제도가 도입된다. 또 대학·기업 간 협력체제인 가족회사제도가 올해 6400개에서 오는 2015년에는 5만개로 확대돼 본격적인 산학협력체계가 이뤄진다.
교육인적자원부와 산업자원부는 6일 서울 광장동 쉐라톤워커힐 호텔에서 노무현 대통령 주재로 ‘공과대학 혁신 포럼 2006’을 개최하고 이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한 ‘공과대학 혁신비전과 전략’을 발표했다.
노 대통령은 이날 “청년실업 문제는 사회에서 알아주는 직업이나 지위를 갖기 위해 산업계에 수요와 관계없이 공부하는 사람들이 있기 때문에 공급초과가 되거나, 사회의 수요는 분명한데 교육이 적합하지 않기 때문”이라고 지적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와 지자체·학교·기업이 앞장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노 대통령은 “실제 연구개발(R&D) 예산이라도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효율이 두 배가 될 수 있다”며 “산자부가 돈을 많이 내고 효율적으로 자원을 배분해 줄 것”을 당부했다.
이날 보고 내용에 따르면 정부는 대학별 특성화 노력을 뒷받침하기 위해 대학별 ‘공학교육혁신센터’를 설립해 지원키로 했다. 정부는 공과대학의 특성화를 통해 특정기업이나 특정산업 수요에 부합하는 맞춤형 교육이 현재의 26.6%에서 앞으로 40.2%로 확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실제로 호서대의 경우 디스플레이·반도체 산업 등 지역산업에 적합한 인력양성에 초점을 맞춘 특성화학과를 운영키로 했고 포스텍(옛 포항공과대학)은 대학원 운영을 박사과정 중심(전체의 85% 이상)으로 개편하고 융합기술 전문대학원을 확대하기로 했다.
정부는 또 내년부터는 대학의 활동이 산업에 얼마나 공헌하고 있는지를 평가하는 공과대학 산업기여도 평가제를 도입기로 했다.
이와 함께, 정부는 그동안 산학협력 중심대학 육성 이후 활성화된 가족회사제도를 여타 대학까지 확산해 가족회사수를 올해 6400개에서 2015년에는 5만개로 확대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가족회사 유치·지원성과 등 산학협력 실적이 우수한 교수들이 높은 평가를 받을 수 있도록 교수 평가시스템을 개편토록 유도하고 이를 재정지원과 적극 연계키로 했다.
또한, 기술이전 전담조직(TLO)을 확대하고 산학협력 기술지주회사를 설립해 대학이 보유한 기술의 기업이전도 적극 추진키로 했다.
주문정기자@전자신문, mjj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