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벤처포럼]ICMS사업 활성화 조건](https://img.etnews.com/photonews/0611/061109031956b.jpg)
국내외 경제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세계화·정보화·혁신화를 화두로 한 세계 경제환경 변화는 국내라고 예외일 수 없다. 특히 네트워크 사회로 진입함으로써 글로벌 거래가 활성화되는 동시에 이는 기업 간 경쟁의 핵심요소로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환경변화에 대처능력이 부족한 중소기업 처지에서는 답답하기만 하다. 중소기업이 지닌 창의성·유연성·신속성 등을 십분 활용해 중소기업 간 협업을 통한 전문화·대형화와 함께 리스크 분산도 이뤄야 하기 때문이다.
중소기업 간 협업(ICMS:Integrated Contract Manufacturing & Service)이란 기업이 지닌 핵심역량만을 직접 수행하고 나머지는 다른 기업에 위탁하는 사업모델을 일컫는다. 이는 기업이 자신의 부족한 역량을 보완하기 위해 생산을 외부에 위탁하는 아웃소싱이나 전략적 제휴와 유사한 면이 있지만 기업 관계가 수평적이면서 전 단계를 커버할 수 있다는 차이가 있다.
ICMS는 조직·제품·공정·마케팅·서비스 등 개별기업의 혁신요소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산업 전체의 구조혁신에도 기여할 수 있지만 무엇보다 네트워크 사회에 적합한 경영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
그러나 ICMS가 정착되고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선결조건이 있다. 먼저 협업 희망기업이 적합한 컨소시엄을 구성할 수 있도록 코디네이팅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코디네이팅 지원이 가능하도록 국내 중소기업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체계적인 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 셋째, 협업사업의 타당성과 진도를 점검할 수 있는 평가 시스템이 갖춰져야 한다. 넷째, 협업에 필요한 계약서·원가명세서·결과보고서 등이 표준화·매뉴얼화돼 협업 모델이 확산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이밖에 사업 참여기업이 보유한 기술을 이용해 새로운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연구개발(R&D) 지원뿐만 아니라 사업 진행에 따라 소요되는 자금지원도 원활히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각종 지원제도가 기술·인력·판로·자금·경영 등 개별 차원에서 이루어져 중복되지 않도록 일괄적이고 효율적인 종합지원 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
지금까지 국내 협업사업은 민간중심으로 추진돼왔다. 이로 인해 이해대립이 발생하고 급기야는 어렵게 시작된 사업이 중단되는 경우도 발생했다. 또 체계적인 매칭시스템이 없어 업종·지역·규모별 등 기업을 선택하는 데 많은 애로가 있었다.
사업별 협력체계(CF:Cross Functional Consortium Family) 결성부터 사업화와 응용단계에 이르기까지 전 단계를 관리해 줄 수 있는 시스템이 미비한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협업사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이해 당사자 간 조정자 역할이 가능하며 기업 간 협력에 노하우가 있으면서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않는 제3의 기관이 사업 전반을 관리하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다.
그러나 협업사업에서 민간기업이 중심이 돼야 함에는 이론이 있을 수 없다. 일본에서도 ‘신연계사업’이라 해서 지난 2005년부터 유사사업이 추진되고 있다. 일본 정부는 ‘신사업활동촉진법’을 제정해 46억엔의 예산을 지원하고 있으며, 그 결과 현재까지 약 3000건의 협업상담이 이루어졌고 118개의 협업체가 구성돼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옛 속담에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는 말이 있다. 기업 간 협력은 네트워크 경제에 필수적인 경영수단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최근 우리 경제의 애로를 극복하는 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보인다. 두레나 계 등 협업 전통이 있는 우리보다 개인주의가 만연한 서구에서 오히려 협업이 활성화되고 있는 것을 거울삼아 우리에게 닥친 또 하나의 역경을 극복해보자.
◆신승주 대·중소기업협력재단 사무국장 ssj@win-win.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