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카드 한 장으로 전국 대중교통 이용"

 교통카드 한 장으로 전국 대중교통을 모두 이용할 수 있는 시대가 열린다.

 그동안 대중교통 이용자는 지역별로 별도의 카드를 소지하거나 현금을 사용해야 하는 등의 불편을 겪어 왔으나 관련 국가표준이 제정돼 앞으로는 전국 어디서나 한 장의 교통카드로 버스·지하철 등을 이용할 수 있는 근거가 마련됐다.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은 건설교통부와 IC카드연구센터 등 민·관 통합표준화 협력기구인 ‘교통카드기술표준연구회’를 통해 선불 IC카드, 지불단말기 등 13종의 국가표준규격(KS)을 제·개정해 국내 상황에 맞고 국제 기준에 부합하는 ‘교통카드 전국 호환 국가표준’을 개발했다고 12일 밝혔다.

 기표원은 이달 최종적으로 교통카드 전국 호환 관련 규격을 KS표준으로 제·개정 고시할 방침으로 내년에는 KS표준을 반영한 교통카드 발급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박인수 정보디지털표준팀장은 “정부는 지난해부터 교통카드 통합작업을 진행해 왔지만 민간 사업자 간의 기술통합 이견으로 교통카드의 전국 호환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며 “민·관 공동협력에 의한 사업자 간 의견조율, 지속적 합의를 통해 공동표준안을 도출하는 데 성공했다”고 말했다.

 기표원은 내년에는 KS표준을 민간 주도의 ‘아시아 IC카드포럼’과 연계시켜 우리 표준을 아시아 교통카드 단일표준으로 채택시키는 데 주력하는 한편, 전 세계 국제표준으로의 상정도 적극 추진키로 했다. 또 전자여권·선원신분증 등에서도 국제표준에 기반을 둔 국가표준을 조기에 제정, 세계 표준 선점을 통한 산업 성장의 기회를 적극 지원할 방침이다.

김승규기자@전자신문, se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