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33㎒ UHF 대역의 능동 전자태그(RFID) 시스템 공공 시장에서 국내 업체와 유수 글로벌 업체가 총성없는 ‘표준 전쟁’을 벌이고 있다.
특히 정부는 수동 RFID에 비해 고부가가치인 능동 RFID를 2008년 이후 국방물자·항만물류 등 공공 분야에 전면 도입키로 해 산·학·관은 확산 시 수천억원대에 달할 것으로 예측되는 안방 시장 사수를 위해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표준 주도권 경쟁 촉발=국방부 ‘RFID를 이용한 u국방탄약관리체계 사업’ 중 하나인 ‘한·미 세계 군수 물자 수송 가시화(G-ITV) 연동 시범 체계 구축’ 사업에서 KPC 등 국내 업체와 미국 사비(록히드 마틴 계열)가 기술 표준 주도권 다툼을 벌이고 있다.
G-ITV는 미 국방부가 능동 RFID를 이용해 자국에서 생산, 우리나라를 비롯해 24개 미 우방국에 공급·유통하는 군수물자 재고를 실시간 파악하는 사업이다. 우리나라는 미국과 G-ITV연동에 합의, u국방탄약관리체계 사업에 시범 도입중이다.
국내 업체들은 능동 RFID 시스템 내 태그와 리더 간 통신규격인 ‘ISO1800-7’를 준수한 리더를 이용, G-ITV 연동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 사비는 자국용 통신규격(ANSI-256)을 채택한 능동 RFID 시스템을 미국 ITV에 구축, 이를 세계로 확대할 계획이다. 사비는 미국과 영국, 스페인, 호주 등에 약 1200만개의 능동 RFID를 설치, 국방 물자 분야에서 선두주자다.
이처럼 다른 암호화 기술 등 통신 규격탓에 사비 태그가 부착된 컨테이너 관련 정보를 국산 리더기가 읽을 수 없을 뿐더러 사비 리더 역시 마찬가지이다. 특히 데이터를 한국형(K)-ITV에 직접 입력하면 G-ITV와 데이터 호환이 가능하지만 밑단인 리더기에선 데이터 호환이 불가능, 한·미 G-ITV 연동 시범체계 구축사업은 절반의 성공으로 끝날 가능성이 적지 않다.
이와 관련 국방부 측은 “정부 사업을 독점이 아닌 경쟁구도로 유도해야 하고 특히 산업계 파급효과 등을 감안, 국산 제품을 적용했기 때문에 사비의 데이터 암호화 기술을 공개, 양 국간 데이터 교환이 가능토록 한다”는 입장이다.
◇미국 표준 독점 우려=사비는 해외 국방 분야에서 능동 RFID 시장 선점을 기반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항만 물류 분야까지 넘보고 있다. 이는 미국·한국 등 세계적으로 항만 물류 분야에서 433㎒ UHF 대역의 능동 전자태그(RFID) 수요가 꿈틀거리고 있어서다.
특히 미국은 항만 보안 차원에서 컨테이너에 태그를 부착하면 자국 통관 절차를 대폭 단축한다는 입장을 밝힌 가운데 우선 해외 3곳의 항만에 적용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해양수산부는 미국의 정책 방침에 발맞춰 국내 업체들을 선정한 가운데 능동 RFID 해운 항만물류 효율화 선도 사업을 시행하고 있으며 2008년 이후 본격 확산한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그렇지만 국방 분야에서 사비 능동 RFID 기술 독점력이 항만 물류 분야까지 영향력을 미칠때 적지 않은 국부 유출이 우려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사비가 미국 표준(ANSI-256)을 비공개로 운영, 경쟁 업체의 시장 진입을 원천 차단하는 등 미국 표준 채택을 간접적으로 강요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사비는 독자 표준과 별도로 ISO 18000-7의 일부 규격 제정에도 참여, 경쟁 업체들이 국제 표준 사용시 특허 사용료를 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정통부 한 관계자는 “외견상 사비사 제품을 그냥 사용하면 한·미 간 데이터 호환 문제 등을 쉽게 해결하는 방법처럼 보이지만 이렇게 될 경우 계속 미국 사비사의 기술과 제품에 종속될 수 밖에 없는 실정에 있다”고 설명했다.
장윤석 항공대 교수는 “국방·항만 분야에서 사비의 기술 및 시장 독점을 막는 것은 쉽지 않다”며 “ISO1800-7 개정시 우리의 규격을 반영하고 캐나다 등 사비의 기술 독점을 제재하려는 국가와 공동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RFID 장비업체 KPC 관계자도 “세계 3위의 물동량을 가진 우리나라 구매력과 우수한 정보기술(IT)를 바탕으로 미국 사비의 기술 독점 움직임에 적극 대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수민기자@전자신문, smah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