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네트워크 시스템 인증체계가 정보통신부가 제안한 네트워크 기기 중심으로 단일화된다. 기기 표준화도 양대 기업인 삼성전자와 LG전자 간 규격 호환기술을 개발해 국가 및 국제 표준을 확보해 나가기로 했다. 이 같은 인증·표준작업의 급진전으로 글로벌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는 홈네트워크 시장의 조기 산업화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4일 관련기관 및 업계에 따르면 산업자원부와 정보통신부는 최근 두 부처 간에 팽팽했던 홈네트워크 시스템 인증 주도권 경쟁을 접고 네트워크 부분에 더 부가가치가 있다는 판단에 따라 통신기능을 강조한 정통부안를 중심으로 새 인증체계를 만들기로 합의했다. 또 이를 위해 두 부처와 업계가 함께 참여하는 통합인증위원회(가칭)를 구성하기로 했다.
두 부처는 그동안 홈네트워크 시스템 인증체계를 놓고 정보가전기기(산자) 중심이어야 한다는 입장과 네트워크 기기 중심이어야 한다는 입장으로 맞서왔다.
표준화 분야에서도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각사의 기기를 상호 호환하는 기술을 개발해 국가 및 국제 호환성까지 확보하자는 쪽으로 큰 줄기를 잡았다. 홈네트워크 시스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다른 제조회사나 기술 규격을 사용한 기기 간 호환성이 선결돼야 하는데 이번에 난제를 푼 셈이다.
이 같은 내용은 이미 두 부처 간, 두 기업 간 실무선에서 합의가 이뤄졌으며 이르면 이번주에 장·차관급까지 보고가 이뤄질 예정이다. 이번 정부 간, 기업 간 합의는 기기 인증과 표준화 논쟁으로 차세대 먹거리산업인 홈네트워크시스템의 보급·확대를 더는 늦출 수 없다는 데 모두 공감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단일 시스템을 놓고 인증 관할이 두 부처로 나뉠 때 발생할 수 있는 산업적 폐해를 미연에 방지하자는 것이다. 특히 인증 부문에서 산자부가 정통부안 중심의 인증체계 마련에 합의한 것은 부처 이기주의를 떠난 용단으로 평가받고 있다.
산자부 관계자는 “업계 편의와 산업 조기 활성화를 위해 우선 통합인증위원회가 필요하다는 쪽으로 (정통부와) 뜻을 모았다”며 “홈네트워크 시스템은 가전 등 기기보다는 네트워크 차원에 더 무게가 있다는 판단에 따라 정통부 중심의 안을 수용키로 했다”고 말했다. 정통부 관계자도 “산하기관 등의 문제로 논란이 있었던 인증기관 지정에 대해서는, 일정 자격을 갖춘 인증기관은 관련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합의했다”고 덧붙였다.
기술표준원 관계자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전자부품연구원 및 SK텔레콤 등에서 이미 두 회사 규격을 호환하는 기술이 개발됐고 공개 테스트까지 마쳤다”며 “전문가 추가 검증을 거쳐 오는 4월께 이를 국제표준으로 제안하고 국내에도 보급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승규기자@전자신문, seung@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홈네트워크 인증·표준체계 조정방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