맑은 날인데도 내가 촬영한 사진은 왜 얼굴이 어두울까. 원하는 곳에 초점도 맞지 않고, 흔들리고…. 인터넷의 발달과 함께 가공·전송이 쉬운 디지털카메라가 전성기를 맞으면서 웬만한 가정에는 한두 대씩 보유하게 됐다. 하지만 복잡한 기능 탓에 자신이 갖고 있는 카메라의 성능을 100%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정동수 기자의 찰칵!’에서는 디지털카메라의 다양한 성능을 활용해 인물·기념일·풍경 등 일상 생활에서 흔히 접하는 상황별 촬영 테크닉을 자세히 알아볼 예정이다. 조금만 관심을 갖고 배우면 주위 사람들에게 ‘전문가’라는 말을 들을 수 있을 만큼의 다양한 테크닉을 익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카메라의 디지털화는 이미 오래 전 시작됐다. 프로그램이 내장된 칩을 채택, 피사체의 초점과 노출 등을 스스로 판단하는 기능을 갖춘 카메라가 나오면서 디지털화가 시작됐다. 일반적으론 CCD나 CMOS를 통해 들어온 빛의 신호를 디지털화해 메모리카드에 저장하는 방식의 카메라를 디지털카메라로 분류하고 있다.
외관상의 차이로는 필름카메라와 달리 디지털카메라에는 LCD가 부착돼 있어 촬영한 영상을 즉시 확인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사진1). 이 기능은 미숙한 기기조작으로 인한 미촬영 등을 방지할 수 있어 촬영자의 불안을 해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 PC와의 호환성이 뛰어나 데이터 보존이나 가공이 수월하며, 일일이 촬영 데이터를 기록하지 않아도 촬영날짜와 시각, 노출 등의 데이터가 이미지에 기억돼 있어 관리가 편하다. 촬영한 사진의 초점이 제대로 맞았는지 LCD 창을 통해 간단한 조작으로 확인할 수도 있다.
가장 큰 장점으론 저장매체로 메모리카드(사진2)를 채택한 것이다. 메모리카드는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필름 소모에 따른 비용이 절약되며, 필름을 갈아 끼우는 불편함 없이 용량에 따라 수백 장의 연속 촬영이 가능하다. 2회에서는 ‘내게 맞는 디지털카메라 고르기’가 이어집니다.
정동수기자@전자신문, dschu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