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수출비중 23%, 반도체·디스플레이·휴대폰 등 5대 품목의 수출의존도 70%, 주요 품목의 해외 로열티 지급액 판매가의 5∼10% 수준.’
지난해에만 1148억달러 수출에 533억달러의 무역흑자를 기록하는 등 초호황세를 지속하고 있는 우리나라 디지털 전자산업의 뒷모습이다.
우리 디지털 전자산업이 현재의 초호황세를 지속적으로 유지하려면 이 같은 문제점을 서둘러 진단하고 개선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당장 지적되는 문제점으로는 기술 유형별로 편차가 심하다는 것. 예컨대 응용기술과 생산기술은 세계적 수준인 반면에 설계와 핵심원천기술은 주요 선진국에 비해 크게 열세다. 생산과 수출이 늘어도 이에 따른 이익 다수가 일본 등으로 넘어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산자부에 따르면 ‘전자 강국’을 자부하는 우리나라의 전자부문 기술무역적자는 11억달러에 달한다. 동기식 2세대이동통신(CDMA)과 비동기식 유럽형이동통신(GSM), 디지털TV 등 주요 제품 판매가에서 로열티로 지급해야 하는 금액도 여전히 5∼10% 수준이다.
주력품목 편중현상도 문제다. 지난해 반도체·휴대폰·디스플레이 ‘빅3’의 수출비중은 전자산업 전체 수출의 70%나 된다. 5대 주력 품목이 우리나라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05년 60%에서 지난해에는 70%로 높아졌고 올해는 77%에 이를 것으로 추정됐다. 일부 품목에 의존하는 수출은 항상 위험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대기업에 대한 의존도가 과도하다는 지적도 어제오늘의 일이 아니다. 지난 2002년 전자수출에서 중소기업이 차지하는 수출비중은 38.9%였지만 지난해 말 기준으로는 23%대로 낮아졌다. 정부의 중소·중견기업 육성책에도 불구, 이 같은 중소기업 수출 위축은 여전히 진행형이다.
이 밖에 주요 가전업체의 해외 투자·생산확대 가속화, 라이프 사이클이 짧은 산업 특성에도 불구하고 산·학·연 연계 없이 기업 독자 개발비중이 78%(전업종 평균 52.5%)에 육박하는 것 등도 점검이 필요한 부분이다.
산업자원부 관계자는 “디지털 전자산업의 호황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외형 성장 외에 산업 구조의 건전화도 반드시 필요하다”며 “정확한 진단과 문제점들을 조기에 도출하고 정부와 업계가 함께 힘을 모아 대처해 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승규기자@전자신문, seung@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중소기업 수출 비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