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뜨거운 감자가 된 위피

 3세대(G) 저가폰이 확산되면서 국산 무선인터넷 플랫폼인 ‘위피(WIPI)’가 다시 뜨거운 감자가 되고 있다. 위피는 당초 이동통신 업체들이 같은 플랫폼을 사용하도록 해 콘텐츠 제작비용을 절감하자는 차원에서 마련된 표준 플랫폼. 2005년 4월부터 정책적으로 무선인터넷을 지원하는 휴대폰에 위피 탑재를 의무화했다. 말도 많았지만 위피는 국내 무선인터넷산업을 발전시키는 데 상당한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다.

 3G 시대에 돌입한 요즈음 위피가 다시 논란이다. 일부 이통사가 위피를 탑재하지 않은 휴대폰, 이른바 ‘먹통폰’을 내놓으려는 움직임을 보이면서부터다. ‘무선인터넷을 지원하지 않는 저가 휴대폰에 위피를 탑재할 필요성을 못 느낀다’는 게 이유다.

 이로 인해 위피 찬반 논쟁은 가열되고 있다. 게다가 “정보통신부가 위피 탑재 의무화 정책을 고수할 의지가 있느냐?”는 의문까지 제기되면서 사태는 더욱 악화되고 있다. 업계가 의구심을 갖는 것은 정통부의 명확한 가이드라인 제시 의지다. 정책적으로 위피를 의무화하고 있기 때문에 어느 이통사도 쉽사리 위피를 포기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지금처럼 가이드라인이 불투명하다면 의무화 정책을 원칙 그대로 고수하는 업체들도 앞으로 위피를 포기할 수밖에 없다. 논란을 종식시키기 위해서는 정통부가 일관적이고 합리적인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위피 정책에 대해 심도 있는 논의를 거쳐 의지를 표명해야 한다.

 선결과제는 지금까지의 위피 정책의 문제점을 되짚어 보는 것이다. 국내 산업을 키우기 위한 위피였지만 위피 솔루션 업체나 콘텐츠 업체들은 그다지 재미를 보지 못했다는 불만이 높았던 게 사실이다. 정통부는 원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해 솔루션 및 콘텐츠 업체들도 국제적인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기반을 마련해 줘야 한다. 이를 통해 국내 무선인터넷 종사자들이 모두 윈윈 할 수 있는 구조를 마련할 때만이 위피가 제자리를 잡을 수 있을 것이다.

 모바일솔루션 업계는 물론이고 단말기 제조업체들 사이에서까지 “어중간하게 놔둬서 문제를 키우기보다는 휴대폰제조사·모바일솔루션·모바일콘텐츠 업계가 모두 공존할 수 있는 위피정책을 하루빨리 다시 세워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는 마당이다. 권상희기자·콘텐츠팀@전자신문, shkwon@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