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가 최근 출시한 ‘아이플러그 프리미엄(iPlug Premium)’. 차세대 이동통신 서비스는 휴대인터넷 와이브로와 3세대 이동통신인 WCDMA/HSDPA를 하나의 단말로 모두 쓸 수 있게 해주는 통합 USB 모뎀이다. ‘옥에 티’가 있다. 와이브로에 접속하다 서비스 지역을 이탈하면 사용자가 직접 HSDPA망을 찾아 다시 접속해야 한다. SK텔레콤이 곧 내놓을 와이브로+HSDPA 복합 모뎀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다양한 무선네트워크가 한꺼번에 등장하면서 사용자가 이동할 때 다른 네트워크에 끊김없이 넘어갈 수 있도록 자동으로 최적의 망을 선택할 수 있는 하는 ‘이종망 간 핸드오버(MIH:Media Independent Handover)’ 기술이 새삼 주목받고 있다. KT와 SK텔레콤·KTF 등 주요 통신사업자가 최근 이 기술 개발에 총력을 기울였다.
◇무선네트워크의 다양화=KTF는 최근 비동기 3.5세대 HSDPA 전국망 서비스를 개시했다. SK텔레콤도 이달 말 전국망을 완료한다. KT는 다음달 휴대인터넷 와이브로 서비스를 수도권 전역으로 확대한다.
기존에 구축한 무선랜 와이파이뿐만 아니라 ‘근거리개인통신망(PAN)’인 지그비, 초광대역(UWB) 등의 기술도 잇따라 도입되는 추세다.
한 사용자가 특정지역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무선네트워크가 갈수록 복잡해진다. 그렇다고 하나의 네트워크로 모든 서비스를 커버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HSDPA가 전국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특정 지역에 사용자가 몰리면 네트워크에 과부하가 걸린다. 이 때문에 사업자는 전국망과 핫스폿, 핫존으로 나눠 서비스를 제공한다. HSDPA가 전국망을 제공한다면 와이브로가 핫스폿을 담당하고 와이파이가 핫존을 맡는 형식이다. 핫존, 핫스폿 등 사용자가 지역을 이동할 때 끊김없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기술이 핸드오버 기술이다.
◇핸드오버 기술을 잡아라=SK텔레콤은 최근 미국 인터디지털사와 제휴를 맺고 이종망 간 핸드오버기술의 공동 개발에 들어갔다. SK텔레콤은 이미 WCDMA와 CDMA 간 음성 핸드오버 기술을 독자 개발해 상용 제공 중이다. 양사는 1차적으로 올해 말까지 와이브로에서 HSDPA로, 내년에는 HSDPA에서 와이브로로 데이터 핸드오버 기술을 개발할 계획이다. 네트워크를 이동해도 동영상·음악 등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 서비스를 끊김없이 제공하는 방식이다. 장기적으로 와이파이·블루투스·UWB, 지그비 등에도 연동할 계획이다.
KT 휴대인터넷사업본부도 와이브로를 활성화할 핵심 기술로 핸드오버를 설정하고 올해 안에는 와이브로와 WCDMA 간 데이터 핸드오버 기술을 개발,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KTF도 우선 모회사 KT와 협력해 와이브로 접목에 집중하고 PAN 기술로 확장할 계획이다. 국제표준기구인 IEEE도 802.21이란 규격으로 이종망 간 핸드오버 기술 표준을 별도로 개발 중이다.
◇요금제와 비즈니스모델에도 영향=핸드오버 기술이 발전하면 무선 요금제도 달라질 전망이다. 서비스품질(QoS) 보장 여부에 따라 요금제 차별이나 프리미엄 고객에게 네트워크 접속 우선권을 부여하는 개념도 등장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임종태 SK텔레콤 액세스기술연구원장은 “모든 무선네트워크가 전국망을 커버할 수 없고 네트워크별 효율성도 저마다 달라 효율적인 핸드오버 기술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될 전망”이라며 “핸드오버 기술에 따라 무선네트워크의 비즈니스 모델이나 요금제도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태훈기자@전자신문, taeh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