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요기획-CAS]DRM기술과 융합 `최대 화두`

 수신제한시스템(CAS)은 방송 분야 핵심 솔루션으로서의 중요성을 유지하기 위해 기술적으로도 계속 진화중이다. 현재 CAS의 최신 기술개발 트렌드는 다운로더블 CAS(D-CAS)와 CAS+DRM 솔루션이다.

◇CAS, 망으로 내려받자=D-CAS는 하드웨어(HW)와 소프트웨어(SW)를 결합한 기존 CAS와 달리 브로드밴드 등을 통해 셋톱박스에 내려받는 CAS다. 방송사업자들은 D-CAS가 셋톱박스 가격을 하락시키고 고장 발생률을 낮춘다며 업계의 D-CAS 개발을 적극 지지한다.

특히 미국과 같이 오픈케이블(OCAP) 표준을 적용한 국내 케이블TV 업계는 가입자 인증을 위한 케이블카드 가격을 종합유선방송사업자(SO)가 부담하는 특성으로 인해 이에 대한 관심이 높다.

한국디지털케이블연구원(K랩스)도 이달 초 북미 복수종합유선방송사업자(MSO)3사가 D-CAS 개발을 위해 설립한 ‘폴리싸이퍼’와 D-CAS 공동 개발에 협력키로 했다. 사이언티픽애틀란타(SA), 모토로라 등 CAS 업체 뿐 아니라 셋톱박스 장비 업체도 D-CAS 개발에 한창이다.

일각에선 SW 방식으로 인한 보안성 저하를 우려한다. 우병기 이데토코리아 지사장은 “SW 방식의 D-CAS는 해킹 위험성이 기존보다 높은 것이 당연하다”며 “D-CAS가 활성화되려면 보안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CAS+DRM 솔루션으로 새 수익을=CAS와 디지털저작권관리(DRM) 기술을 융합하는 것도 CAS 업계의 화두다. CAS는 셋톱박스에서 가입자만 방송을 수신하게 하고 방송 콘텐츠를 저장하는 기능을 통제한다. DRM은 MP3파일, 벨소리, 온라인동영상 등의 사용자 권리를 결정한다. 콘텐츠사업자는 DRM으로 PMP로의 전송 등 콘텐츠 사용 범위를 제한한다.

CAS+DRM 융합솔루션을 적용한 방송사업자는 유료시청(PPV)이나 주문형비디오(VoD) 등 방송 부가서비스에 △휴대형 기기로의 콘텐츠 전송 △콘텐츠 감상 시간·횟수 제한 등의 서비스를 추가, 새 매출 증진 기회 얻을 수 있다. 소비자도 용도에 따라 방송 콘텐츠를 개별 구입, PMP 등 다양한 휴대형 기기로 전송해 볼 수 있다.

CAS 업체들은 이 솔루션 개발에 적극적이다. 이데토에는 각종 표준 DRM과 기존 CAS를 연동한 ‘CA+DRM’ 솔루션이, NDS에는 ‘비디오가드’가, 싸이퍼캐스팅에는 ‘델리캐스팅’이 있다. 코어트러스트도 “최근 하나로텔레콤 IPTV CAS 선정 과정에 DRM과 CAS를 연동한 솔루션을 제안했다”고 밝혔다.

최순욱기자@전자신문, chois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