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시티는 우리나라가 전 세계에 새로운 ‘IT신화’를 창조할 분야입니다. 연말까지 서비스 표준 모델을 개발하고 인프라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겠습니다.”
마침내 9월부터 강릉과 공주 등에서 ‘2007년도 IPv6 시범사업’의 일환으로 u시티 시범 서비스를 선보이는 신상철 u시티지원센터장(한국정보사회진흥원 u서비스지원단장·51)은 ‘u시티’라는 단어가 나오는 순간 말이 빨라지며 평소 생각을 쏟아냈다.
신 센터장은 “최근 여러 국가를 방문했는데 대부분 유비쿼터스 개념조차 제대로 자리잡지 못한채 광케이블·무선통신망 등 통신 인프라를 구축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었다”면서 “u시티 부문에서는 우리나라가 스웨덴·핀란드 등 IT 선진국과 비교해도 가장 앞서 있어 앞으로 IT 전반의 성장을 견인할 수 있는 종합 산업으로 커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지금까지 부처별로 실행해왔던 u시티 사업을 일관된 기술 아래 추진하는게 중요한 만큼 올해 말까지 ‘인프라 가이드라인 v1.0’을 발표할 계획”이라며 “여기엔 통신망 인프라(가입자망·구내망·무선망·센서망 등)의 네트워크 구조, 기술 방식에 대한 기준 및 인증의 기본 방향, 대상 범위 절차, 도시 정보 통합 연계 체계 등의 내용이 담길 것”이라고 말했다. 이를 준수해 u시티를 구축한 지방자치단체를 대상으로 ‘u시티 1등급 도시’ 인증을 부여해 u-IT 수요 활성화를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지난 6월 설립된 u시티지원센터는 3개월 남짓한 짧은 기간에 굵직한 성과를 낳았다. 2009년까지 기반을 조성하고 오는 2013년부터는 수출에 나선다는 ‘u시티 로드맵’을 내놓는 한편 u청계천(서울)·u컨벤션(광주)·u해운대(부산)·u태화강(울산) 등 6개 과제에 42억원을 지원하면서 지원기관으로서 자리를 굳혔다.
신 센터장은 “한국정보사회진흥원·한국정보보호진흥원·정보통신정책연구원 등 정통부 산하기관과 건설교통기술평가원·토지공사 등 건교부 산하기관, 학계 교수 50여명이 참여하고 있어 상설 조직으로 운영하기엔 무리가 있다”면서 “비상시 조직으로 운영하면서 평균 보름에 한번씩 만나 스터디를 하면서 정책 방향을 논의하고 있다”고 전했다.
신 센터장은 어느 누구보다 u시티와 인연이 깊다. 정보사회진흥원에서 RFID/USN 및 홈네트워크 등의 기술 상용화 관련 업무를 해오다 2004년 u시티협의회장을 맡으면서 u시티 사업의 전면에 서게 됐다.
그는 “u시티가 조속히 활성화돼 산업 차원으로 부각되길 바란다”면서도 “최근 ‘u시티건설지원법’이 부처간 이견으로 공전을 거듭하고 있는게 무엇보다 안타깝다”고 속내를 드러냈다. “u시티는 모든 기술이 망라된 도시 계획이기 때문에 부처간 협의가 가장 중요하다”며 “지원센터의 설립 취지도 여기에 있는 만큼 원만한 조정을 위해 힘쓰겠다”고 말했다.
황지혜기자@전자신문, got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