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질硏, 희귀금속 산업 육성 급하다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희유금속 국내·외 기술수준 비교

반도체나 디스플레이, 광전자, 항공·우주 분야 등의 핵심 재료로 쓰이는 고부가가치의 희귀금속(희유금속, 원소) 산업의 국제 경쟁력이 미국의 40% 수준에 불과, 관련 산업의 적극적인 육성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원장 이태섭) 자원활용소재연구부 한만갑 책임연구원은 1976년부터 2006년 말까지 국내·외에서 출원된 희귀금속 관련 특허 2만7855건을 바탕으로 핵심·중요 특허 1000건을 추출, 분석한 ‘고순도 희유금속소재의 기술동향 조사연구’결과 국가 경쟁력이 미국(100 기준)의 40∼60%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원소는 LCD나 적외선 필터, 리튬전지, 초전도 선재, 위성부품, 콘덴서, 원자로 등에 주로 쓰이는 갈륨(Ga), 인듐(In), 리튬(Li), 니켈(Ni), 코발트(Co), 티타늄(Ti), 코발트(Co), 몰리브덴(Mo), 니오븀(Nb), 하프늄(Hf),팔라듐(Pd), 백금(Pt), 로듐(Rh), 탄탈륨(Ta) 등 14종으로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이 조사에 따르면 우리 나라는 가장 취약한 분야로 △분리정제기술(건식법) △고순도화 기술 △정책 연구 등으로 미국의 40%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기능성 희유금속 제조나 화합물 제조, 고순도화 평가 기술에서도 미국 수준의 60%에 불과했다.

특히 이번 조사에서 희유금속 14종의 수입국으로는 일본과 미국이 각각 63%, 23%를 차지, 특정 국가로의 원료 수입 편중도 심각했다. 특히 일본의 경우는 지난해 대일무역적자 300억 달러의 27%인 80억 달러어치나 수입했다.

각국의 제조 수준을 평가하는 기술력 지수에서도 우리 나라는 지난 30년간 평균 0.6으로 미국(41.4)이나 일본(19.2)에 절대적으로 뒤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를 책임진 한만갑 책임 연구원은 “독자적인 원재료와 기초소재 제조기술의 낙후 정도가 상당히 심각하다”며 “고순도 소재제조 원천기술 확보와 관련 기업의 육성, 정부 정책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희유금속=지각 내에 존재량이 적거나 추출이 어려운 금속자원 중 현재 산업적인 수요가 있고 향후 수요 신장이 예상되는 금속원소로 전자·정보통신 산업분야의 부품·소재 원료 또는 기초 소재로 사용되고 있다. 극소수의 국가에 매장과 생산이 편재되어 있어 독점의 위험성이 크다.

대전=박희범기자@전자신문, hbp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