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가 한반도 경제공동체를 향한 선봉에 선다.
3일 관계 당국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이번 평양 남북 정상회담을 계기로 △남북 전파간섭 해소를 위한 협력체계 구축 △북한 지역 정보통신인프라 합동 조사 △통일 대비 통신방송위성 공동 이용계획 수립 등 중장기 IT 협력방안을 북한에 제안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남북 전파방송 3단계 협력 프로젝트’(가칭)를 통해 △남북 전파협의체를 만들어 △공동 채널(인프라)을 구축한 뒤 △별도의 통신방송사를 설립해 서비스하는 방안이 모색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교육·인적 교류를 활성화하는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
정부는 또 개성공단에 입주하는 무선통신기기 제조업체를 지원하고 지상파 DMB시범서비스 공동 사업 및 본방송을 추진하는 것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개성공단에서 코드분할다중접속(CDMA)방식의 이동통신서비스를 실현하기 위해 기지국을 공용화하는 것도 검토대상이다. 이를 실현하려면 개성공단과 금강산에 20∼30개 기지국(BS)과 1개 기지국제어기(BSC)을 세운 뒤 휴전선을 유선망으로 연결해 이동통신서비스를 제공해야 하기 때문에 남북 전파 교류 및 공동관리가 이루어질 전망이다.
가깝게는 △서울과 평양 사이에 구축한 이산가족 상봉용 영상회의시스템의 민간 개방 △개성공단 내 유선전화망 확대(2만8000평→100만평) △평양 지역 유선전화서비스 등이 추진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와 함께 소프트웨어공제조합이 20여개 전문기업과 함께 컨소시엄을 구성해 북한 기업인 삼천리총회사를 참여시킨 ‘한반도소프트웨어협력센터’도 개성에 자리 잡을 전망이며 평양에 남북합자회사까지 설립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업계 한 관계자는 “정부가 이번 정상회담을 앞두고 전략물자 수출통제 제도에 얽매이지 않는 IT 협력방안을 찾았다”면서 “중장기적으로 남북 IT 협력이 구체화하고 관련 행사가 평양에서 잇따라 열릴 것”으로 내다봤다.
이은용·김준배·황지혜기자@전자신문, ey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