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상식 밖의 중국

 “사람이 없다니까요. 모기업의 주문량이 늘고 있으나 직원 채용에 애를 먹고 있습니다.”

 중국 광둥성 후이저우에서 만난 우리나라 부품업체 법인장의 말은 귀를 의심케 했다. 세계 최고의 인구를 자랑하는 중국에서 일할 사람을 찾기가 쉽지 않다니. 상식적으로 이해가 되지 않았다. 하지만 현지 부품업체 법인장들은 내년 베이징 올림픽을 앞두고 젊은층들이 서비스·유통 분야로 눈을 돌리면서 구인난이 현실화되고 있다고 걱정했다. 실제로 불과 1∼2년 전 생산직 직원 채용광고를 내면 아침부터 공장 정문에 입사 희망자들이 수십미터 줄을 섰다고 한다. 하지만 요즘은 고작 수십명만이 찾아오고 있다.

 한국 기업이 중국을 찾는 주된 이유 중 하나는 값싼 인건비와 풍부한 노동력이었다. 하지만 오늘날 중국은 이 같은 상식이 급속히 파괴되는 듯하다. 특히 한국기업이 중국에서 느끼는 노동환경 체감지수는 뚝뚝 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법에 명시된 장애인 의무고용 비율을 지키지 않는 한국 기업에 벌금까지 부과되기 시작했다. 법으로 정한 최소인건비 역시 상향 조정됐다. 생산직 직원들의 임금도 최소 30% 이상 상승 중이다. 2∼3년 전 한달 평균 10만원 안팎이던 급여가 요즘 10만원 후반대로 치닫고 있다. 20만원을 넘는 월급을 주는 기업도 생겨났다.

 반면에 잠재적 경쟁자인 중국 현지 부품업체들의 성장은 위협적이다. 이들 기업은 대규모 설비투자를 기반으로 한 원가경쟁력을 앞세워 삼성전자·LG전자 등 우리나라 대기업에 대한 영업에 열을 올리고 있다. 특히 중국에서 휴대폰 EMS뿐 아니라 자동차 완제품, 배터리 등 휴대폰 관련 부품을 생산하는 비와이디(BYD)는 수십대의 자동화장비(SMD)를 설치해 놓고, 물량 발주가 나오기만을 기다리고 있다. 사단급 수준의 병력이 산 뒤에 출동대기 명령을 기다리는 셈이다. 한국 부품 기업들은 이 난국을 타개할 수 있을지 걱정이 앞선다.

  후이저우(중국)=김원석기자@전자신문, stone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