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성DMB의 지상파 실시간 재송신 승인 결정으로 위성DMB는 일단 한고비는 넘겼다. 하지만 이번 결정이 가입자 이탈 방지에는 도움이 되지만 전반적인 위기를 타개할 구세주가 되기는 힘들 것이라는 지적이다. 특히 지상파DMB 사업자들은 이번 결정을 계기로 형평에 맞게 지상파DMB에도 활성화 방안을 내놓으라며 반발하고 나섰다.
지상파DMB도 광고주의 외면으로 위성DMB와 별반 다를 바 없는 상황이라는 것이다. 결국 차세대 성장동력이라며 DMB서비스를 실시한 방송위원회와 정보통신부는 겨우 인공호흡기로 연명하고 있는 DMB산업을 되살려야 하는 숙제를 떠안아야 하는 상황이다.
◇위성DMB “가입자 늘지는 의문”=유료서비스인 위성DMB는 가입자 확대가 절실하다. 지상파 재송신도 가입자 확대에는 별 도움이 되지 못할 것이라는 지적이다.
허재영 티유미디어 팀장은 “너무 늦었기 때문에 가입자를 늘리는 데는 한계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티유미디어는 250만명 정도는 돼야 자립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현재 가입자는 126만명에 그치고 있어 2배가량 끌어올려야 한다.
KBS·SBS와도 재전송 협상을 벌일 계획이지만 가입자 확대에 어느 정도나 도움이 될지는 의문이다. 콘텐츠 규제 완화는 물론이고 현재 49%인 대주주의 지분제한도 풀어야 한다는 요구가 나오고 있다.
◇지상파DMB “사업철수할 수도 있어”=6개 지상파DMB 방송사의 모임인 지상파DMB특별위원회는 위성DMB의 MBC재송신 승인에 즉각적으로 반발했다.
지상파DMB를 접을 수도 있다는 강경한 태도다. 여기에는 지상파DMB도 생존할 수 있도록 뭔가 대책을 달라는 요구가 담겨 있다. 지상파DMB의 가장 큰 현안은 광고다. 단말기 보급 대수가 800만대에 달하고 있지만 6개 지상파DMB사업자의 평균 광고 매출은 월 1억원에 그쳐 매월 수억원의 적자를 내는 구조다.
◇정책적인 지원 시급=업계는 지상파는 보급 대수는 늘어나지만 광고시장이 활성화되지 않고 있고 유료인 위성DMB는 가입자가 늘어나지 않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야 한다는 지적이다. DMB가 1000만명에 육박하는 가입자를 확보했음에도 불구하고 이처럼 사업자들이 수렁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정책적인 문제 때문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김혁 지상파DMB특위 정책실장은 “무료서비스는 가입자가 늘어도 돈이 없어 죽어가고 유료서비스는 그 무료서비스 때문에 가입자를 확보하지 못해 죽어가는 등 사망원인의 차이가 있을 뿐 똑같은 상황”이라며 “정책적인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방송위원회도 이 같은 문제점을 인정한다.
방송위는 위성DMB의 재전송을 승인하면서 “위성DMB와 지상파DMB 모두 재원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안정적 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상호 경쟁이 아닌 보완적이고 균형적 발전을 위한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향후 프로그램 제작지원 확대 등의 정책지원과 함께 규제 완화를 위해 필요한 방송법령 개정 등을 내용으로 하는 세부방안을 수립, 시행할 계획이다. DMB산업을 살릴 대책이 나올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권상희기자@전자신문, shk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