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에 축적된 공공정보를 기업들이 상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길이 차츰 열리면서, 공공정보가 새로운 사업이 기회가 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그동안 공공정보 상업적 활용에 대한 국내 기업들의 요구는 높은 데 비해 공공정보의 상업적 활용률은 20%도 채 안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최근들어 공공정보를 개방하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있어 상업적 활용률이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는 최근 서울시의 지리·인구정보 등의 공공정보를 공개해 휴대폰으로 교통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는 시범사업을 시작했다. 이 시범사업의 결과로 엘비에스플러스는 이 공공정보를 바탕으로 모바일 서비스를 개발해 상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었다. 서울시는 향후 시민의 이용현황 분석을 통해 다양한 민관 협력모델을 발전시킬 수 있도록 공공정보를 공개한다는 방침이다. 엘비에스플러스 뿐 아니라 여러 기업들이 서울시의 공공정보를 토대로 사업을 진행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됐다.
정부의 지식정보DB도 상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된다. 정통부는 내년 지식정보를 이용해 콘텐츠를 만들 수 있도록 지식정보 DB를 재가공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지식정보DB의 상업적 활용에 대한 표준지침도 마련할 계획이다. 또한, 공공기관이나 학회 등이 자체적으로 보유한 지식정보와의 연계를 확대하고 자동등록시스템도 보급할 예정이다.
공공부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API) 공개도 기대되는 부분이다. 정부는 올 해 개방 가능한 API 소재를 파악해 내년부터 단계적으로 API를 개방할 계획이다. API는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함수의 집합으로, API가 개방되면 공공정보를 활용해 민간이 사업기회를 창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함께 50∼100개에 달하는 공공 정보 데이터베이스도 매년 추가적으로 개방해 이를 통해 시장을 창출할 수 있도록 한다. 행정자치부의 경우 차세대 전자정부의 핵심 과제인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API를 단계적으로 개방해 나갈 계획이다.
정부 한 관계자는 “API나 공공정보가 개방될 경우 이를 자신의 사업과 접목해 보다 풍부해진 서비스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며 “공공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많아지고 있어 기업들의 사업 기회도 확대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문보경기자@전자신문, okmu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