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용정부 지상파 개편 MMS가 변수

 새 정부가 공영방송 민영화 등 방송구조 개편을 추진할 것이 확실시되면서 디지털멀티모드서비스(MMS) 정책에 새로운 변화가 예상되고 있다. 지상파 방송사들은 그간 MMS제도 도입은 물론이고 추가될 채널도 자연스럽게 가져갈 것으로 기정 사실화했으나 이명박 대통령 당선자 측은 이에 부정적인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MMS는 데이터 압축률 높여 한 개의 방송채널에 할당된 주파수를 2개에서 6개 채널로 늘리는 신기술로 다채널 방송을 할 수 있다.

 이명박 당선자 측은 후보시절부터 지상파 방송사에 손질을 가하겠다는 의지를 밝혀왔다. 공영과 민영의 경계선을 확실히 긋겠다는 것이 새 정부의 방침인 셈으로 KBS와 MBC 등 지상파 공영 방송의 대대적인 수술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정권 출범 후 구성될 21세기미디어위원회(가칭)는 공영방송 통합과 MBC 민영화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특히 지상파 방송 구조개편 과정에서 MMS가 변수로 떠올랐다.

 MMS를 어떻게 처리하는지에 따라 지상파방송 구조 개편 향배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MMS를 도입하면 지상파 방송채널이 지금보다 3배 정도 늘어나게 된다.

 지상파 방송사는 MMS로써 새로 늘어나는 채널을 기존 방송사에 할당할 것을 전제로 사업 전략을 짜왔지만 상황이 달라졌다.

 방송계는 새 정권의 시각을 감안하면 기존 지상파 대신 새로운 사업자에게 넘겨줄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방송계 한 관계자는 “방송사에 허가된 주파수대역은 1개 방송채널을 송신하기 위한 주파수인만큼 한 방송만 내보내야 하고 여유 주파수를 정부에 반납해 지상파방송사를 추가로 선정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로써 지상파의 독과점을 해소하는 한편 시청자에게 무료 보편적인 서비스를 확대한다는 명분을 내세울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새 지상파 채널 사업자를 선정하게 되면 대기업은 물론이고 방송 겸영이 허용될 신문사도 포함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신문사들은 케이블PP 등을 통해 방송시장에 참여해 왔지만 이것으로는 부족하다고 보고 지상파 진출을 노려왔기 때문이다.

 지상파 방송사의 한 관계자는 “민영 지상파 방송사 역시 MMS 채널은 새 방송사업자를 선정할 가능성이 더 높다”며 “다양한 방안이 논의될 수 있겠지만 MMS가 방송구조 개편이 가장 핵심적인 변수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은용·권상희기자@전자신문, shk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