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 지상파방송사가 제기한 전자부품연구원(KETI)의 나노이미지센서(SMPD)에 대한 3가지 의혹이 대부분 사실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나노이미지센서 연구진실성검증 조사위원회(위원장 김형준 서울대 교수)는 KETI가 개발한 SMPD는 상용화한 CCD 및 CMOS 이미지센서와 동작원리 및 소자구조 등에 차이가 있는 새 기술이라고 밝혔다. 기술도용이나 표절 등의 연구 부정이 없었고 SMPD는 적외선을 이용해 영상을 구현한다는 방송사의 보도 내용은 사실이 아니며 상용화한 CMOS 이미지센서와 마찬가지로 가시광-근적외선 영역까지 감지하는 센서라고 덧붙였다.
조사위는 나노기술을 적용하지 않았다는 주장에 대해 조사위는 학계에 알려진 이론으로는 SMPD 현상의 명쾌한 설명이 어렵고 외부 전문가들도 현재 SMPD의 양자효과를 인정하지 않는 것을 고려할 대 나노기술을 적용했다고 판단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양자효과 인정 여부는 향후 피 조사자들이 직접 논문발표 등을 통해 관련 전문가들로부터 객관적인 검증을 받아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형준 조사위원장은 “동작원리와 소자구조 측면에서 SMPD는 PN포토다이오드 원리를 적용한 CCD와 CMOS 이미지센서와 차별성이 있고 홍콩기술대학의 만순찬 교수 논문의 구조와도 차이가 있다”고말했다. 김 위원장은 또 센서 자체적으로 고감도인지 여부에 대해 “포토디텍터의 광반응 감응도 표현 자체에는 부정이 없었으나 개발자가 주장한 영상감도 500배임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KBS는 지난해 5월 KBS스페셜 ‘신기술이 만든 풍경, 대박과 의혹’을 통해 △기존기술과 차별화되는 기술인가 △센서 자체적으로 고감도인가 △나노기술인가 등 3가지 의혹을 제기했다.
주문정기자@전자신문, mjj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