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부는 주로 현장과 산업에 치중했던 문화산업 진흥단을 중심으로 개편 후 조정 작업이 이뤄질 전망이다. 이번 개편을 통해 디지털 콘텐츠와 미디어 분야만큼은 중심 부처로 확실한 위상을 세울 수 있을 것으로 보고 내심 기대감에 부풀어 있다. 아울러 문화부 숙원 사업이었던 부족한 문화기술(CT) 예산 확보에도 도움을 받을 수 있다는 희망을 내비치고 있다.
문화부는 먼저 콘텐츠와 미디어 중심의 정책 부서로 새롭게 위상을 다질 방침이다. 여러 기능 중 가장 업무 중복이 심했던 인터넷과 같은 미디어와 게임·콘텐츠 쪽이 모두 문화부로 이관하면서 다른 부처의 눈치를 볼 것 없이 정책 드라이브를 펼칠 수 있기 때문이다.
최보근 콘텐츠 진흥팀장은 “콘텐츠 정책과 관련해서는 이전 정권에서 정통부의 위치를 고려하고 유사 기능이 많아 정책을 세우는 데 어려움이 많았다”며 “앞으로 콘텐츠 산업 진흥이라는 큰 틀에서 콘텐츠 산업의 마스터플랜을 짜는 작업이 가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통부의 소프트웨어 진흥단 업무까지 이관받으면서 사실상 무형의 소프트 분야의 중심 부처로 문화부의 브랜드를 새롭게 다져 나간다는 계획이다. 단지 정통부의 미래본부와 진흥단 전체가 새로운 조직으로 문화부 내에 편재될지 아니면 일부 유사 기능은 통폐합돼 새로운 조직으로 방향을 잡을 지는 명확한 결론이 나지 않았지만 어떤 식으로든 이전처럼 중복 기능은 최소화하는 형태로 조직 편제가 이뤄질 것으로 내다봤다.
또 서울 광화문 문화부 청사가 지금도 비좁은 상태에서 새로운 공간 확보도 당면 과제로 떠올랐다. 인수위는 정통부 일부 기능을 문화부는 넘기는 것과 함께 국정홍보처를 폐지하고 꼭 필요한 해외홍보 기능도 ‘문화부’로 이관키로 했다. 홍보처 해외 업무 기능이 문화부로 넘어 오면서 콘텐츠를 포함한 문화 콘텐츠의 홍보와 수출도 힘을 받을 것으로 분석했다.
강병준기자@전자신문, bjk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