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제의 1등이 내일도 1등일 수는 없다.’
IT대기업들은 끊임없이 변화를 쫓는다. 환경에 적응하는 분주한 발걸음으로, 때로는 주어진 조건을 해결하기 위한 도약의 틀을 갖추기 위해 쉼없는 성장을 꿈꾼다. 이는 해를 거듭하면서 IT산업 지형이 달라지는 이유다.
하지만, 기업들이 꿈꾸는 성장만큼 올해 국내 경영환경은 그리 녹록지 않다. 대외적으로 저환율과 고유가, 불안한 원자재 가격 등의 위험요소가 도사라고 있다.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 여파에다 채권시장 급랭이 겹쳐 자금줄이 꽁꽁 언 상황이다. 기업들은 투자를 줄인다고 잇따라 발표했다. 대내적으로는 이명박 정부가 출범하면서 불투명한 정치환경이 기업인에게는 부담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그나마 실용과 효율을 강조하는 이명박 정부의 큰 틀의 정책운용이 ‘경제 활성화와 균형재정 달성’이라는 방향성이 호재로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
삼성전자·LG전자 등 종합전자 분야 대기업을 비롯한 KT그룹·SK그룹 등 통신업체, 삼성전기, 하이닉스반도체, 동부아남반도체 등 반도체 부품업체가 창조와 혁신을 필두로 글로벌과 고객가치라는 신년 화두를 내놓으면서 위기를 기회로 만들어 나가고 있다.
일찌감치 예고된 이명박 정부의 규제완화 정책도 기업들에는 호재로 작용할 수 있다. 핵심은 금산분리정책 폐지와 출자총액제한 제도 폐지다. 재계가 오래 전부터 결단을 요구해 온 이 문제는 올해 대기업에는 초특급 관심사다. 이 당선인은 “기업이 마음놓고 투자할 수 있는 여건을 만들겠다”고 여러 번 힘주어 말했다. 기업 투자 활성화가 경제 활성화의 기본이라는 인식에서다. 문제는 IT 시장의 활성화다.
최근 반도체 값이 크게 떨어지면서 기업들의 수익률이 밑바닥을 기고 있다. ODD 한 개 가격이 피자 한 판 값에도 못 미치는 게 현실이다. 제품 개발을 위해 쏟아 부은 열정과 연구개발비는 오간 데가 없다. 그래서 이명박 정부에 거는 기대가 더욱 크다. ‘기업하기 좋은 환경을 만들고 기업인을 애국자처럼 떠받들겠다’는 새 정부의 공언은 규제라는 족쇄를 풀지 않는 한 ‘딴 나라’ 얘기처럼 들릴 수밖에 없다. 법과 원칙이 지켜지는 가운데 초일류 기업의 등장과 IT강국의 지도력을 유지하는 것은 기업의 노력뿐만 아니라 정부의 적극적인 대응은 당연한 논리다.
희망은 있다. 어떤 어려움에 닥쳐도 이를 헤쳐나가려는 기업들이 있다. 투자 분위기도 살아났다.
4년간 끌어온 IPTV법이 지난해 12월 국회를 통과했다. ‘졸속’ ‘특혜’라는 논란도 있었지만 IPTV 개막을 알리는 시발점이 됐다. KT는 올해 IPTV 관련해 6900억원의 예산을 책정했으며 하나로텔레콤은 SK텔레콤과의 인수 문제로 아직 구체적인 투자계획을 밝히고 있지 않지만 3300억원보다는 많을 것으로 전망된다. 여기에 통신과 케이블사업들이 참여할 계획을 밝히면서 장비를 포함한 관련 시장이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전자분야 대기업들은 올해 각 분야에서 1위를 외쳤다. 삼성전자는 올해를 창조와 혁신으로 내걸고 매출과 이익에서 세계 1위의 초일류 전자회사가 될 수 있도록 경영 전반에 걸쳐 창조혁신을 가속화하고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TV·휴대폰·프린터 등 6대 주력 사업을 중심으로 가격경쟁력과 디자인, 서비스 등 비가격 경쟁력에서 지도력을 강화하겠다는 전략이다. LG전자도 가치창출을 통해 2010년까지 투자수익률 20% 달성 목표를 세웠다. 이를 위해 포트폴리오 최적화, 기술혁신과 디자인 차별화 등 6대 전략과제를 내놨다.
통신사업자들은 성장엔진 찾기에 분주하다. KT는 올해를 ‘도전하고 성장하는 해’로 규정하고 성장사업인 메가TV와 와이브로, 인터넷전화에서 종합 1위를 위한 역량 결집에 나선다. SK텔레콤도 성장 모멘텀 확보를 위해 글로벌 시장에서의 전략적 신규사업 발굴과 고객중심 경쟁력 강화에 경영의 초점을 맞췄다.
KTF는 3세대 휴대폰 시장의 1위 굳히기를 목표로 세웠으며 LG데이콤은 계열사와의 시너지를 극대화해 TPS사업 성공에 매진할 계획이다.
이런 목표를 향해 뛸 준비를 하는 대기업 CEO와 임직원에 격려의 박수를 보내는 것은 바로 이들의 성공이 우리 IT산업의 건강성과 삶의 질을 높이는 게 기여하기 때문이다.
김동석기자@전자신문, dskim@etnews.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