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생명과학부 기억 재구성 메커니즘 구명

 저장됐던 기억이 재구성 가능한 상태로 변화하는 메커니즘이 국내 연구팀에 의해 최초로 구명됐다.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강봉균 교수 연구팀은 저장되었던 기억이 인출될 때 기억을 저장하는 시냅스가 허물어지는 메커니즘이 있음을 규명하고 이 과정이 기억 재구성을 위한 필수적인 과정임을 밝혀냈다. 이같은 연구 내용은 세계적인 과학저널인 사이언스지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이전까지는 저장된 기억을 인출할 때 계속 기억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단백질 합성이 다시 필요하다는 사실 정도만 알려져 왔었다. 새로운 학습을 통해 기억할 수 있는 것은 부호화시키고 단백질 합성을 통해 단단하게 강화되는 과정을 수반하는 시냅스가 어떻게 불안정한 상태가 되고 기억을 재구성하는지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었다.

 강 교수 연구팀은 ‘기억 재구성 가능 상태 연구’를 통해 기억을 떠올릴 때 기억 인코딩시 강화됐던 시냅스가 특수 단백질 분해과정을 통해 허물어지며 기억 재구성 가능한 상태로 만든다는 것을 밝혀냈다. 기억을 떠올릴 때 시냅스를 구성하는 신경 세포들은 특수 단백질 분해과정을 통해 시냅스의 단백질 분해를 증가시킨다. 이 특수 단백질 분해과정의 활성을 억제하게 되면 기억이 재구성될 수 있는 상태로 가지 못하기 때문에 기억의 변형·소멸이 불가능해진다.

 강봉균 교수는 “기억 재구성 가능 상태 연구를 응용·발전시키게 되면 특정기억을 유지시키거나 변형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며 “의학적으로 다양하게 쓰일 수 있는 발판을 마련 한 셈”이라고 말했다.

 이성현기자@전자신문, arg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