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 발전기업체 "제품 단가 현실화 절실하다"

 중소 발전기 업체들이 채산성 악화로 시름하고 있다. 원자재 상승에도 불구하고 제품 공급가가 상승하지 못했다는 게 원인이란 분석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정부조달 가격부터 서둘러 현실화 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부도 위기에 몰린 업체들= 지난해 10월엔 연 매출 50∼70억원 규모의 발전기업체 M사가 채산성 악화로 부도처리됐다. 지난 1월에는 연매출 200억원 이상을 기록하던 D사도 당좌거래정지처분을 받았다. 특히 D사는 2006년도에 당시 연매출 4∼500억원 규모로 중소 발전기 업체 중 매출 및 수출량 1위를 기록하던 K사의 사태를 떠올리게 했다. 충남 아산시에 위치한 K사의 공장과 부지는 현재 국내 감정평가법인으로부터 약 110억원 가치로 평가받아 법원 경매가 진행중이다. 그러나 발전기 생산 시설이 세계적 수준이라고 업계가 인정받음에도 입찰자가 없어 두번이나 경매가 유찰, 18일에 약 55억원의 최저 입찰가로 다시 경매를 진행한다.

한 업계 관계자는 “최고 수준의 공장 경매가 두번이나 유찰됐다는 것은 발전기 산업 자체의 불확실성과 어려움을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현실 안맞는 단가, 그리고 어음 결재=중소 발전기 업체들은 채산성 악화의 가장 큰 원인이 ‘원자재 가격 상승분이 반영되지 않은 낮은 제품 단가’라고 분석했다. 한국전기공업협동조합에 따르면 철강, 코일, 구리 등 발전기 제조 자재 가격은 최근 1∼2년 사이 2∼3배 높아졌다. 하지만 조달청 등을 통해 공급되는 발전기 단가는 제자리 수준이다.

대금을 어음으로 지급하는 관행도 어려움을 주긴 마찬가지다. 신성호 전기조합 발전기협의회장은 “철강 등 대부분의 자재를 현금으로 구입하지만 대금을 6개월짜리 어음으로 받아 현금 유동성에 어려움을 겪는 게 현실”이라고 설명했다.

업계는 제품 단가 현실화가 가장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전기조합 관계자는 “중소기업중앙회를 통해 중기청 등에 가격 현실화에 대한 건의서를 제출하기도 했지만 여의치 않다”고 말했다. 신성호 발전기협의회장은 “이전 단체수의계약제도가 있었을 때는 어느 정도의 마진을 보장받을 수 있었다”며 “기업을 운영할 수 있을 정도의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제품 단가 현실화가 급선무”라고 말했다.

최순욱기자@전자신문, chois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