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야전력요금 인상 불똥이 심야전력 보일러, 온풍기, 온수기 업체들로 튀었다. 심야전력 이용 제품, 설비 수요가 대폭 줄었기 때문이다. 이들 업체들은 “애초 정부가 심야전력 사용을 장려했다”며 “직접적인 피해자인 중소기업 관련 대책은 없다”고 비판했다.
서울 성북구에 위치한 심야전력기기 전문업체 G사는 최근 축열식 온풍기, 온수기, 온돌 판매가 예년에 비해 80%이상 줄었다. 축열식 보일러, 온수기, 온풍기는 일반전기요금보다 싼 가격에 공급되는 심야(23:00-09:00)전력으로 열을 생산해 저장했다가 낮에 사용하는 방식을 사용한다. 전체 전기요금을 낮출 수 있는 게 장점이다.
수원에 위치한 심야전력설비 시공 전문업체 K사 역시 심야전기 보일러, 온수기 판매가 70% 이상 감소했다. K사 관계자는 “최근 일부 심야전기 관련 기업은 매출 하락으로 제품 생산 라인을 정수기 등으로 변경하는 걸 고민하거나 회사 매각을 검토하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들 업체의 심야전기 설비 공급이 급격하게 줄어든 것은 산업자원부가 지난 1월부터 심야전력 요금을 38.94원/kWh에서 약 45.75원/kWh로 17.5% 인상하면서다. 산업자원부는 2007년 말 “2006년 심야전력 수요가 적정규모인 4720MW의 2배 수준인 8960MW에 달하는 등 수요 급증으로 발전원가가 비싼 LNG 발전기까지 가동하는 실정이지만 요금은 적정수준의 60%에 불과해 연간 5000억원의 손실을 일반 전기소비자가 부담하고 있다”며 요금 현실화를 추진했다.
문제는 당시 ‘기초생활수급자,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20% 요금할인’을 신설, 요금인상에 따른 저소득층 부담 경감 방안은 마련했지만 정작 심야전력 제품을 생산하는 중소기업 관련 대책은 없다는 것. 산업자원부도 “아직까지 특별한 관련 기업 지원책 마련 계획은 없다”고 밝혔다.
앞으로 가구당 심야전력 공급용량이 줄어드는 것도 고민거리다. 산업자원부는 심야전력을 저소득층 난방수단으로 유도하기 위해 오는 3월부터 심야전력 최대 공급용량을 현행 50kW에서 30kW로 줄인다. 9월에는 20kW로 더 줄어든다. G사 관계자는 “50kW는 30평 가량의 단독주택에서 난방을 할 수 있을 정도의 전기 용량”이라며 “심야전력 관련 제품을 공급할 수 있는 곳 자체가 없어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들 기업은 요금 현실화 취지는 이해하지만 중소기업의 직접적인 매출 감소 등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한 업체 관계자는 “심야전력제도는 80년대부터 발전소 심야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도입돼 정부가 심야전력 이용을 장려한 측면이 있다”며 “급격한 요금 인상과 공급용량 감축은 문을 닫으라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말했다.
최순욱기자@전자신문, choisw@